“경호처 조직쇄신·협력 강화”…박관천, 경호차장 내정서 정책관 보직 변경
대통령경호처의 조직 개편을 둘러싸고 박관천 전 경정이 경호차장 내정에서 정책관 보직으로 이동해 주목된다. 박관천 내정자는 최근 경호처 내부 사정에 따라 차장이 아닌 정책관에 임명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정치권에서는 새로 신설된 고위공무원단 나급 직책인 정책관 보직의 배경과 역할 변화에 이목이 쏠린다.
경호처 관계자는 "박 내정자는 경호처에서 '열린 경호, 낮은 경호' 등 조직 쇄신 업체를 주로 맡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관계 기관과의 협의, 협력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필요시에는 경호처장의 지시로 차장의 임무도 병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그가 당초 예정됐던 조직 내 2인자인 차장직에서 실무 중심의 개혁·협력 기획에 집중하게 된 셈이다.

새로운 경호 원칙인 '열린 경호, 낮은 경호'는 대통령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되, 시민 불편 최소화와 국민 친화적 경호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수립된 방침이다. 경호처는 이를 계기로 경호 과정에 발생하는 대민 피해와 불신 해소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다.
박관천 내정자는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을 지낸 인물로,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의 핵심 관계자였다. 특히 이른바 비선 실세 의혹을 둘러싼 '정윤회 문건' 작성자로 알려지면서 정치권 및 경호 조직 내 상징성이 컸던 만큼, 그의 보직 변화는 신중한 내부 기류 변화로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박 내정자의 승진 제외 가능성과 관련해 조직 안팎의 반응이 엇갈린다. 한편 최근 경호처가 경호 혁신과 조직 유연성을 지속 강조해온 만큼, 정책관 직위 신설과 역할 확대가 추후 경호처 개편 작업의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
대통령실은 "조직쇄신과 협력 강화 차원에서 정책관 인선을 진행했다"는 입장을 내놓았으며, 향후 경호체계 변화에 맞춰 정책관 역할과 위상이 확대될 가능성도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