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T 이용자 362명, 소액결제 피해”…불법 기지국 해킹 사건 수사 진전
사회

“KT 이용자 362명, 소액결제 피해”…불법 기지국 해킹 사건 수사 진전

정하린 기자
입력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가 362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고가 이어졌으며, 경찰은 불법 기지국을 이용한 대규모 해킹 범죄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KT는 22일 고객센터 공지에서 소액결제 피해와 관련해 “관계기관에 제출된 피해발생 지역별 세부현황”을 공개했다. 피해 규모는 알뜰폰 사용자까지 포함해 총 362명이며, 이 중 광명시 소재 피해자가 233명으로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서울 금천구 59명, 경기 부천시 소사구 22명, 경기 과천시 19명, 서울 동작구 11명, 인천 부평구 9명,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3명, 서울 서초구 3명 등 순으로 파악됐다. 해당 지역들은 결제 발생 시점에 피해자의 휴대전화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됐다.

KT
KT

경찰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지난달 27일부터 31일 새벽 시간대, 피해자 모르게 휴대전화 소액결제가 이뤄졌다는 신고가 경기 광명경찰서에 접수된 것이 출발점이었다. 이후 언론 보도를 계기로 서울·인천·경기 인접 지역에서도 유사 피해 신고가 잇따랐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등 혐의로 중국 국적의 A씨(48)를, 범죄수익 은닉 혐의로 B씨(44)를 각각 체포했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A씨는 불법 소형 기지국 장비를 승합차에 설치하고 특정 지역 내 KT 이용자 휴대전화를 해킹해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 소액결제를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동료 B씨는 이렇게 결제한 상품권 등을 현금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1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범행 후 중국에서 입국한 A씨를 체포했으며, 같은 날 서울 영등포구에서 B씨도 긴급 체포했다. 용의자들은 한국 내 통신사 근무 및 관련 경력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KT는 “피해가 확인된 고객들에게 개별 연락해 조치를 완료했다”며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히 대응했고, 앞으로도 이상 거래에 대해 철저한 모니터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민 단체들과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유사 피해 차단을 위한 통신회사의 보안 시스템 점검과 금융 관리 강화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도 “소액결제 한도가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경고가 제기되고 있다.

 

경찰은 추가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유사 범죄 수법과 조직적 배후를 집중 조사 중이다. 통신사와 협력해 피해자 지원과 제도적 재발 방지책 마련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통신망 보안과 실시간 결제감시 체계 등 구조적 취약성에 대한 경각심을 남긴 채, 후속 대응과 수사가 지속될 전망이다.

정하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kt#소액결제피해#경기남부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