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PMI 5개월 연속 위축”…중국, 경기 부진 지속에 우려 확산
현지시각 31일, 중국(China) 국가통계국은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4로 집계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기준점 50을 다섯 달째 밑도는 수준으로, 중국 경기 회복 기대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수치는 지난달보다 소폭 올랐지만, 블룸버그와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49.5)를 하회했다.
제조업 PMI가 계속해 50 아래에 머문 것은 경기 위축 신호로 여겨진다. 중국 정부가 미중(USA) 간 관세 일부를 낮추는 등 무역 환경 개선에 나섰음에도 제조업 경기에 뚜렷한 반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배경에는 정부의 가격 경쟁 제한, 부동산 경기 침체, 극심한 폭우와 홍수 피해 등이 복합적으로 겹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편, 서비스업과 건설업을 포함한 8월 비제조업 PMI는 50.3으로 전월(50.1)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전체 경기에 대한 낙관론은 힘을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블룸버그는 “과잉 생산 억제 정책이 여전히 업황 회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면서, 과도한 경쟁과 신규 투자 억제로 인한 수익 감소, 디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하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중국 경제가 미중 관세 분쟁, 부동산 침체, 고용불안, 지방정부 부채, 최근 잦은 기상 이변 등 다층적 위기에 노출돼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복합적 불확실성은 올해 정부가 제시한 5% 안팎 성장률 목표 달성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창수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수석아시아이코노미스트는 “과잉 생산 감축, 9월 3일 군사 퍼레이드에 따른 북부 지역 공장 가동 중단, 그리고 주택 시장 침체가 단기적으로 경제 압박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즈웨이 핀포인트자산관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향후 중국의 성장 흐름은 수출 전망과 재정정책의 지원 강도에 달려있다”고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 5월 고위급 무역회담에서 상호 관세 115%포인트 인하에 합의하며 상당수 관세를 취소·유예하기로 했으나, 글로벌 시장 불안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분위기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들은 “중국 정부의 추가 부양책과 미중 무역관계 변화가 하반기 글로벌 경제의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고 평가했다.
국제사회는 중국 경기의 연착륙 여부와 정부의 추가 경기부양, 미중 관계의 추가 진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