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염색체 구조가 남녀 수명 갈랐다”…막스플랑크팀, 유전 기반 해답 제시
남성과 여성의 평균 수명 차이가 유전적 구조에 뿌리를 둔 것으로 새롭게 규명됐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가 이형접합성 성(heterogametic sex) 개념으로 남녀 수명 차이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남성은 X와 Y 염색체를 각각 하나씩 가지는 이형접합성인 반면, 여성은 X염색체 두 개를 보유해 동형적합성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염색체 구조 차이가 남녀의 유전적 결함 방어력에 영향을 미치며, 남성이 유해 돌연변이의 영향을 받을 때 무방비에 놓일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기존에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이나 생활습관 차이 등이 남녀 수명 차이의 주요 원인으로 일컬어졌다. 이번처럼 유전체 구조의 불평형이 직접적 원인임을 제시한 것은 업계에서 주목할만한 변화다. X염색체 돌연변이에 대한 ‘기본 백업’ 없이, 남성은 상대적으로 질병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연구팀은 528종 포유류와 648종 조류까지 분석을 확대했다. 그 결과, 72%의 포유류와 68%의 조류에서 암컷 수명이 수컷보다 길었다. 인간을 포함한 광범위한 종에서 유전적 성 차이가 수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해석이다. 이는 포유류나 조류에만 해당하지 않으며, 수컷이 수명이 더 긴 조류·곤충·파충류 등도 존재해 종별로 유전체 메커니즘이 상이하게 작동함을 시사한다.
경쟁 구도 측면에서도 이번 연구는 세계적 수준의 대규모 동물 생체 데이터 통합 분석을 시행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특히, X-Y 염색체의 구조적 반복성과 결함 복구 차이에 기반해 진화적 관점에서 남녀 건강 및 수명 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암시한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유전체 다양성 연구, 질병 취약성 예측 등에서 성별 유전 정보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다만 남성 건강에 불리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윤리적 쟁점과 사회적 오해 방지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병행된다.
막스플랑크연구소 관계자들은 “이형접합성 성에 기반한 수명 차이 이론이 앞으로 맞춤형 의료나 유전자 치료 등 정밀의료 시대에 새로운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성별 유전체 연구가 질병 예방 및 건강관리 혁신의 실마리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