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 실체 정조준”…윤석열 전 대통령 압수수색에 특검 칼끝 겨냥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둘러싼 정국이 격랑에 휩싸였다.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로 적시하며 자택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사건의 단초로 꼽히는 'VIP 격노설' 실체 규명을 중심으로, 대통령실과 군 최고위층을 향한 특검의 강제수사 기조가 뚜렷해졌다.
특검팀은 지난 7일 ‘VIP 격노설’ 수사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힌 뒤 나흘 만인 11일, 윤 전 대통령을 피의자로 지목하고 두 번째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전날 국방부와 국가안보실 등 10여 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이어, 대통령실 출신 인사의 자택까지 대상이 확장됐다.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과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등, 2023년 7월 31일자로 ‘격노설’ 회의에 참석했던 인물들 역시 강제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본류로 지목된 VIP 격노설은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는 발언과 함께, 윤 전 대통령이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 전화를 걸어 초동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실제로 이 전 장관은 대통령실 전화 직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이첩 보류와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는 점이 법조계에서 확인됐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은 초동조사 결과 그대로 경찰에 넘겼다가 항명 혐의로 기소되는 등, 일련의 수사외압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특검은 현재까지 수사기록과 통신자료 등 정황 증거들을 확보했지만, 대통령실 내 문서와 구체적인 진술 획득이 쉽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회의 참석자 중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직접 목격했거나 전언으로 들은 인물들의 진술을 중점적으로 확보 중이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지난 7일 불러 고강도 조사했으며, 이날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도 소환조사를 받는다. 김 전 차장은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의 외교·안보를 총괄했던 핵심 참모로, 그간 회의 내 격노 사실을 부인해왔으나 특검은 확보 기록과 진술을 제시하며 당일 상황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 측 인사들은 회의에서 채상병 사건 보고가 없었고 ‘격노’ 자체도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으며, 특검 또한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대통령실 결정구조상 자료 입수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검은 압수수색과 함께 추가 진술 확보에 주력, 조만간 조태용 전 원장 등 핵심 인사들도 연이어 불러 조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치권은 대통령실 압수수색과 전직 국가수장 피의자 지목 자체만으로 정국이 요동친다는 평가다. 여권에서는 "특검의 무리한 정치적 행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한편, 야권은 “공직자 외압 진실규명을 위한 불가피한 수사”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일각에서는 "정점에 선 윤 전 대통령 소환조사까지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국회는 특검과 대통령실 간 긴장 고조 양상을 예의주시하며, 향후 특검 수사 진전에 따라 국방·정치권 전반의 파장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특검팀은 주요 회의 참석자 소환 및 증거 확보를 이어가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직접 조사도 조만간 본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