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추다혜 차지스의 소수민족”…무가와 펑크의 충돌→경계를 초월한 음악 실험
엔터

“추다혜 차지스의 소수민족”…무가와 펑크의 충돌→경계를 초월한 음악 실험

김서준 기자
입력

추다혜 차지스가 두 번째 정규앨범 ‘소수민족’으로 묵직한 화두를 던졌다. 사이키델릭 샤머닉 펑크 밴드인 네 멤버, 추다혜, 이시문, 김재호, 김다빈은 제주 무가 ‘푸다시’, 즉흥성과 강한 기운의 ‘작두’, 호방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무장한 ‘좋다 잘한다 좋다’를 내세웠다. 이들은 무속의 깊은 정서와 레게, 힙합, 펑크 등 경계를 넘나드는 장르 융합을 펼쳐, K팝의 공식에 얽매이지 않은 ‘얼터너티브 케이팝 데몬 헌터스’라는 정체성을 공고히 했다.

 

이번 앨범의 핵심은 생생한 현장감, 그리고 무가의 에너지로부터 뻗어나오는 시원한 파괴력에 있다. 타이틀곡 ‘허쎄’에서는 제주 무가가 품은 주술성과 올드 힙합의 강한 비트가 결합돼 신선한 충격을 자아낸다. 즉흥적 연주와 긴장감 넘치는 흐름의 ‘작두’는 모두 불을 끈 채 오직 소리로만 교감하며 단 두 번 만에 완성됐다. ‘좋다 잘한다 좋다’는 이미 공연 현장에서 열렬한 호응을 이끌어온 대표곡으로,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선명히 드러낸다.

“진짜 얼터너티브 케이팝”…추다혜 차지스, ‘소수민족’서 무가와 펑크로 경계 허문다
“진짜 얼터너티브 케이팝”…추다혜 차지스, ‘소수민족’서 무가와 펑크로 경계 허문다

사운드의 경계도 한층 확장했다. 일본의 사운드 엔지니어 우치다 나오유키가 녹음과 믹싱에 힘을 더해 국경과 장르의 장벽을 허문 새로운 질감을 완성했다. 네 멤버는 “의심이 자신감과 재미로 변했다”며, “깊어진 사운드만큼 관객과 소통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고민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도 각자가 지닌 개성과 팀워크가 이번 앨범에서 유기적으로 결합되며, 매 순간 호흡이 살아 있는 음악이 됐다.

 

추다혜는 “부담감도 있었지만, 전례 없는 도전과 팀에 대한 믿음이 2집까지 이어졌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다빈은 “무속이라는 뿌리를 계속 탐험하고 싶다”고 말했으며, 시문은 “한층 깊어지고 대중과 가까워진 소리가 탄생했다”고 전했다. 김재호는 “메시지는 정수에 닿지만, 대중적으로 친근한 사운드로 다가가려 했다”고 전했다.

 

‘소수민족’은 5년이라는 세월과 수많은 고민, 공연, 그리고 음악적 실험이 집약된 결과인 동시에, 전통과 혁신, 실험과 대중성의 경계가 사라진 새로운 음악의 장을 펼쳐보였다. 추다혜 차지스는 이번 앨범 발매와 함께, 7월 18일부터 26일까지 스페인 라마르데뮤지카스 페스티벌에서 첫 해외 투어에 나설 예정이다. 리더 추다혜는 “매번 새로운 지역의 무가를 만나며 음악적 한계를 넓히고, 앞으로 더 많은 무대에서 관객을 만날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추다혜차지스#소수민족#허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