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원 1표, 권리당원 17표”…정청래·박찬대, 민주당 대표 선거 막판 신경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거를 둘러싼 신경전이 극에 달하고 있다. 대의원 1표가 권리당원 17표에 해당하는 높은 가치로 작용하는 선거 구조에서, 정청래·박찬대 후보가 막판 지지층 결집에 총력을 기울였다. 당 직책자와 현역 의원 등 간부급 당원인 대의원 표심이 최종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두 후보는 각자의 우위를 주장하며 긴장감을 높였다.
정청래 후보는 최근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인 데 이어, 대의원 표심 역시 대세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전날 토론회에서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은 17표, 권리당원은 1표이고 특히 대의원은 국회의원들이 일정 영향력과 통제를 하는 표”라고 발언하며, “과연 민주적 절차가 맞는가”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심이 의심(議心)을 압도했다”고 강조했다.

반면 박찬대 후보는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열세였으나 대의원 표에서는 우위를 기대하며 역전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점차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를 등치시켜 나가고 있고, 관련 당헌·당규 개정에 대한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방향은 같지만 속도가 문제다.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박 후보 측도 통화에서 “조직력과 대의원 표심에서 앞선다고 본다”며 박빙 승부를 전망했다.
이번 민주당 대표 선거의 1차 투표 반영 비율은 대의원 15%, 권리당원 55%, 국민 30%로 구성된다. 민주당 당헌 상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비율은 20대 1 미만으로 정하도록 규정돼, 대의원 1만6천여명과 권리당원 약 150만명이 각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양측의 전략은 최근 수해 복구 이후 본격적인 당심 총력전으로 확인된다. 정 후보는 인천시당, 박 후보는 제주도당을 각각 찾아 당원 간담회를 열고 표심 잡기에 나섰다. 정 후보는 “내란당의 뿌리를 통째로 뽑아내겠다”며 “위헌 정당 해산심판까지 총력전을 하겠다”고 밝혔고, 박 후보 역시 “내란 가담·동조한 세력 징계 및 제명을 추진하겠다”며 ‘내란종식특별법’과 국정조사·청문회 관철 의지를 밝혔다.
아울러 박 후보 측은 “일부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가 민주당원인 척하며 허위 선동을 벌였다”며 고발 사실을 전했다. 이에 따라 후보 간 선명성 경쟁과 당원 결집전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민주당은 오는 8월 2일 전당대회에서 신임 당 대표를 선출할 예정이다. 막판 대의원 표심과 권리당원 민심이 최종 승부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