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맨홀 작업자 질식·실종”…유독가스 누출에 구조 난항
인천 계양구 도로 맨홀에서 하도급업체 대표와 직원 2명이 유독가스에 질식, 1명은 심정지로 구조되고 1명은 실종되는 사고가 6일 오전 9시 22분께 발생하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맨홀 내부 작업 중 오수관로 구조 점검을 하다 변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는 인천환경공단 발주 용역의 하도급업체 소속 남성들이 병방동의 도로 맨홀에 진입하면서 일어났다. 50대 직원 B씨가 맨홀 안에 먼저 들어간 뒤 추락했고, 40대 대표 A씨가 구조를 시도하다 질식해 심정지 상태로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다. B씨는 사고 발생 6일 오후 기준 여전히 실종 상태다. 신고를 접수한 소방·경찰당국이 곧바로 합동 수색에 투입됐으나, 좁고 복잡한 관로와 오·폐수 수심, 급류 등 악조건에 구조 및 수색 난항이 이어지고 있다.

현장에서는 황화수소와 일산화탄소 등 유독가스가 검출돼, 관계기관은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소방당국은 B씨가 관로 내 물살에 휩쓸려 떠내려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중 드론 등 특수 수색 장비까지 총동원해 인근 하수처리장 방면까지 범위를 확대 중이다. 김만종 계양소방서 현장대응단장은 “지하 맨홀의 지름이 670mm 정도에 불과해 구조장비 착용 자체가 어렵다”며 “좁은 공간, 복잡한 구조, 높은 수심 등이 모두 구조에 큰 제약”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를 두고 오·폐수 관로 내 안전장비 착용, 유해 가스 측정 등 기본 실천 수칙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여부가 쟁점으로 부각됐다. 유사한 맨홀 질식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한 현실에서, 전문가들은 “작업 전 유해가스 측정과 체계적 안전교육, 실질적 현장 감독 등 제도적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천환경공단과 업체 측은 사고 직후 긴급보고, 작업일지 제출, 실종자 가족 지원, 현장 안전점검 등 대응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경찰과 소방은 구조 작업과 병행해 현장 관리 및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 사고 경위와 책임 소재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구조 당국은 “실종자가 발견될 때까지 야간 수색도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계속된 맨홀 작업장 사고는 당국과 업계, 사회 모두에게 현장 안전 실태 재점검과 근본적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던져주고 있다. 경찰과 소방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