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받고 소비 늘었다”…광명시 정책, 소상공인 매출도 동반 상승
경기도 광명시가 올해 초 전 시민에게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 소비를 촉진하며 소상공인 매출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광명시는 11일, 지난달부터 진행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연구용역’ 중간 설문 결과와 소상공인 매출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7월 7일 기준, 시민 2910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5.4%인 2776명이 지원금이 생활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46%가 “소비를 줄이느라 하지 못했던 지출을 할 수 있었다”고 했고, 49.4%는 “가정 예산을 절감했다”고 응답했다. 소상공인 45명 중 24명 역시 지원금 지급 후 매출이 유지되거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는 8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중간보고회에서, 2024년 1~4월과 전년 같은 기간을 비교한 소상공인 매출 빅데이터를 공개했다. 학원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일평균 거래 건수 및 결제 금액이 모두 증가했으며, 특히 안경점·미용실·치과·약국 등 건강·실생활 업종에서 매출이 두드러지게 늘었다. 이는 시민들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미뤘던 건강 관리 소비를 지원금으로 시작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 소상공인과 시민의 상생에 긍정적 역할을 했다”며 “정부의 소비쿠폰 정책도 시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 있음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올해 9월 말까지 최종보고회를 열고, 지원금·소비쿠폰·지역화폐 등 경제 지원 정책의 구체화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방정부 단위 경제 정책 설계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