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정상회담 성사 임박”…조셉 윤, 한미동맹 현대화 ‘대형 프로젝트’ 강조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미 양국 정상이 현장에서 만나게 될 지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는 1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한미동맹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지난달 한미 양국 대통령이 성공적인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경주 APEC에서도 만나실 것”이라고 밝혀, 경주 정상회담 성사에 무게를 실었다.
윤 대사대리는 “이재명 대통령은 미래지향적 한미관계를 요청했다. 동시에 경제와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요청했다”며 “한미동맹은 톱 리더십부터 아래까지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미동맹은 이제 새로운 위협, 새 현실에 맞춰 적응해 변화해야 한다. 이건 매우 큰 프로젝트라 생각한다”고 덧붙여, ‘동맹 현대화’ 추진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APEC 정상회의 참석 역시 점차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같은 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언론인 간담회에서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방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회담이 성사되면 한미관계와 동북아 정세에 중대한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정치권과 외교가에서 나오고 있다.
윤 대사대리는 “우리는 역내뿐 아니라 전 세계를 살펴야 한다. 미국은 단순한 재정 기여를 넘어 인권·민주주의·열린 사회 구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의 인적교류에 대해서도 “미국 유학생 중 한국인 학생이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으며,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도 계속 늘고 있다. 이런 인적교류는 동맹 강화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미 양국은 ‘동맹 현대화’를 둘러싼 협의를 급물살을 타고 있다. 외교 전문가들은 이번 경주 정상회담이 첨단 기술 협력, 인도·태평양 전략, 안보·경제 동맹 재설계 등 주요 이슈 교환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치권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과 한미정상 회담이 동맹 강화 흐름을 확정지을 분수령이 될 것으로 주목한다. 정부는 APEC 정상회의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동맹 현대화와 신안보 질서 논의를 가속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