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과장급 10여명 수개월째 무보직 대기”…통일부 조직 축소 여파에 인사 적체 심화
정치

“과장급 10여명 수개월째 무보직 대기”…통일부 조직 축소 여파에 인사 적체 심화

김서준 기자
입력

통일부에서 중간 간부급 공무원들이 무보직 상태로 수개월째 대기하는 초유의 인사 적체 사태가 벌어졌다. 9월 13일 통일부에 따르면, 3급과 4급 등 과장급 공무원 11명이 지난 7월 초부터 별도의 직책 없이 본부에 출근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대통령실이나 장관실 등에서 파견 근무를 마치고 돌아온 인력, 혹은 한시적 조직에서 근무하다 복귀한 전직 과장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과장 정원은 40명 수준이지만, 실제 현원은 66명까지 늘어나 정원을 60% 이상 초과한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다. 과장급 보직은 본부와 산하 소속기관을 합쳐도 50여 개에 불과해, 10명 이상이 갈 곳 없이 대기하게 된 셈이다. 이들 대기자 다수는 억대 연봉을 받는 중간 간부로 전해졌다.

무보직 대기 중인 한 과장급 직원은 “하루 이틀도 아니고 몇 달간 하는 일도 없이 한 곳에 무더기로 모여 있으려니 민망하고 마음이 불편하다”며 “이래도 되나 싶다”고 연합뉴스에 심경을 드러냈다. 실제로 이들은 이른바 '정책지원 태스크포스'라는 사무실에 출근해 주어진 일 없이 시간을 보내는 상황이라고 부처 관계자들은 전했다.

 

이 같은 인사 적체 현상은 윤석열 정부 시절 추진된 통일부 조직 축소와 직제 개편의 여파가 아직 해소되지 않은 데다, 이재명 정부 들어 첫 간부 인사가 지연되면서 더욱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기존 정원을 크게 줄인 결과, 복귀자와 인사 대기자가 발생해 행정공백과 인력 손실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통일부는 일부 과장급 대기를 해소하기 위해 9월 15일 본부 내 2~3개 공석에 대해 우선 인사를 단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고위공무원 인사 지연이 해소된 이후에도 정원 초과 문제가 남아 있어, 상당수 대기자는 앞으로도 무보직 상태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 시기 축소된 부처 조직을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피력했다. 정 장관은 행정안전부와 직제 개정을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줄어든 정원(81명) 전부의 원상 복구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날 통일부는 조직 축소 배경과 인력 현황을 점검하면서도, 정원 복원과 인사 적체 해소 등이 빠른 시일 내로 해결될 지는 미지수다. 정가와 공직사회에서는 장기화 우려가 높아지는 한편, 인사 시스템 및 조직 재설계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된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통일부#정동영#조직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