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틀째 소환 불응”…윤석열, 김건희 특검에 체포영장 압박 거세져
정치

“이틀째 소환 불응”…윤석열, 김건희 특검에 체포영장 압박 거세져

박진우 기자
입력

김건희 여사 관련 각종 의혹을 둘러싸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다시 격돌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이틀 연속 소환 요구에 불응하면서, 특검팀이 체포영장 등 강제수사 방침을 강하게 시사해 정치권 공방이 고조되고 있다.

 

30일 오전, 민중기 특검팀은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 사무실로 윤 전 대통령을 재차 소환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전날(29일)에 이어 두 번째로 출석하지 않았다.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건강 문제로 거동이 매우 어렵고, 앉아있기도 힘든 상태”라며 “추후 건강이 개선되지 않으면 출석이 어려울 수 있다”고 연합뉴스를 통해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앞서 내란특검팀 출정조사 및 내란 재판에도 불출석하는 등 건강 악화 사유를 반복해왔다. 민중기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변호인 선임계 제출 등 어떠한 의견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문홍주 특검보는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30일 소환 요구에도 불응하면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수사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특검팀은 체포영장이 발부될 경우, 윤 전 대통령이 수감 중인 서울구치소 내에서 특검보와 검사, 교도관들을 통한 집행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의 이번 소환은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등 혐의와 직접 연결돼 있다. 2022년 대선 즈음, 윤 전 대통령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로부터 무상 여론조사를 받고, 그 대가로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공천되도록 힘썼다는 의혹이 핵심이다. 또한, 2021년 10월 국민의힘 경선 토론회에서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한 넉 달 정도 (위탁 관리를) 맡겼는데 손실이 났다”고 발언, 허위사실 공표로 공직선거법을 위반했다는 혐의도 함께 수사 대상이다.

 

야권은 법치주의 원칙에 따라 “강제수사도 피할 수 없는 상황”임을 주장하며 특검팀의 신속한 진행을 촉구하는 반면,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 문제를 내세우며 직접 출석 대신 구치소 내 조사 또는 별도 절차를 요구하고 있어 양측의 법적, 정치적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특검의 강제 집행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여야 간 대치가 한층 가열되고 정국 불안정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여론 역시 실체적 진실 규명을 촉구하는 목소리와 지나친 정치적 공방을 우려하는 반응이 병존하고 있다.

 

민중기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추가 불출석 상황을 면밀하게 검토한 뒤, 곧 체포영장 청구 여부 등 강제조치에 돌입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이번 사안이 향후 여야 대치 격화, 정국 향방에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석열#민중기특검팀#체포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