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항공우주 전장 안전관리 체계 강화”…공군, 민·관·군 합동우주안전심포지엄 열려
항공우주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두고 정부와 군, 민간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각국의 무인기·우주위험 대응 전략부터 민관군 거버넌스 필요성이 논의의 중심에 올랐다. 우주항공력 강화와 안전관리 체계 정비 필요성이 강조되며, 한국 안보 환경에도 변화의 흐름이 읽힌다.
18일 서울 공군호텔에서 열린 ‘2025 민·관·군 합동우주안전심포지엄’에는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산업, 미 공군 등 항공우주 안전 분야를 대표하는 기관과 4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항공우주력 발전과 연계한 선제적 안전관리’를 주제로 삼았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은 개회사에서 “세계 각국이 미래 항공우주 전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자원과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항공우주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 또한 더욱 복잡하며 다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문가들이 함께 안전관리 체계와 정책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매우 뜻깊다”고 덧붙였다.
오후 세션에서는 무인·자동화 기반 미래항공 환경에서의 안전관리 방안, 우주 임무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과 발전 방안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제이 구터슬로 미 공군 안전센터 팀장은 미 공군의 무인기 안전관리 현황을 소개하며 “무인기 위험관리 및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전투력 향상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우주항공청 소속 최만수 우주위험대응과장은 우주 안전을 위한 민·관·군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현대 우주위험 대응에는 각 주체 간 유기적 협조와 정보 공유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첨단기술 발전 속도에 발맞춘 안전관리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앞으로 정부와 국방 당국, 항공우주 산업계는 전문가 집단과의 정책 협의를 보다 강화할 방침이다.
정치권과 정책당국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제기된 의견을 정책화하는 절차에 주목하며, 일선 국방 현장의 의견 수렴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