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강제동원 희생자 추모”…정부, 일본과 별도로 한국 주관 추도식 개최
사도광산 강제동원 문제를 둘러싼 외교적 갈등이 재점화됐다.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각각 별도의 추도식을 열기로 하면서 유가족과 외교 당국 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정부는 올해로 두 번째로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서 강제동원 희생 한국인을 위한 자체 추도식을 마련한다.
외교부는 13일 “오는 21일 오전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서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를 위한 추도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추도식에는 이혁 주일본대사를 정부 대표로 유족 11명,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9월 13일 일본 현지에서 열린 일본 정부 주관 사도광산 추도식과는 별도 행사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당시, 한국 측에 노동자 추도식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한국 정부는 일본이 발표한 추도사에 “조선인 강제노동의 강제성 언급이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일본 주관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올해는 (일본과의 협의가) 만족스러운 결론에 이르지 못했지만, 추도식이 그 취지와 성격에 합당하게 개최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일본 측과 계속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외교부는 일본과의 공식 협력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강제동원 피해자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한편, 올해 추도식은 지난해 실외에서 열린 것과 달리 실내에서 진행된다. 이는 일본 현지의 쌀쌀한 날씨 등으로 유가족의 불편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추도식 이후에는 한국인 노동자와 연관된 현지 장소를 유족과 함께 방문할 예정이다. 유가족의 현지 행사 참석에는 정부 예산이 지원된다.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분리된 추도식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는 한일 외교 현안으로 다시 한 번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추모와 관련해 일본 측과 협상을 지속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