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내 남북미 만남 기대”…김민석 총리, APEC 계기 북미대화 가능성 시사
남북미 정상 간 접촉 가능성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6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꼭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이 아니더라도, 그 시기를 전후해 금년 내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 또는 국제사회, 대한민국과 어떤 형태로든 만났으면 좋겠다는 기대가 있다”고 밝혔다. 대북 대화 활성화 움직임이 가시화될지 주목된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이 ‘북한에 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공식 제의한 적이 있느냐’고 묻자, 김민석 총리는 “구체적인 제의를 한 적은 없다”면서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당시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 의지를 전달한 사실을 언급했다.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언급은) 간접적이면서도 공개적이고 국제적인 방식의 제안 아닌 제안”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의 공식 초청은 아니지만, 대화 의사를 국제사회에 알림으로써 북한과의 접점 마련을 시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병주 의원이 미국과의 협조를 통해 특사 파견으로 북한 측의 정상회의 참석을 유도하는 방안을 제기하자, 김민석 총리는 “그런 것까지 포함해 저희가 논의하겠다”고 답변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APEC 정상회의 참석 전망에 대해서는 “오시는 것으로 보고, 그것을 전제로 준비 중”이라며 “현재까지 참석을 막을 큰 변수는 보이지 않는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아울러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세계적 평화 메시지를 담은 ‘경주 선언’ 추진 가능성도 거론됐다. 김병주 의원이 “세계 평화에 대한 경주 선언 발표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자, 김민석 총리는 “지금 내용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 현장에서는 안보문제 논쟁도 이어졌다.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은 일부 국무위원의 방북 이력을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 들어 국가안보가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총리는 “(윤석열) 정권에 반대한 모든 세력을 반국가세력으로 봐 쿠데타를 일으켰던 논리와 다를 바 없다”며 맞받았다. 여야 간 안보 프레임 공방도 심화되는 분위기다.
정치권은 하반기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남북미, 북미 간 정상급 만남 성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정상회담‧특사 파견 등 다양한 외교 채널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오는 정상회의와 관련해 향후 구체적인 남북미 접촉 가능성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