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윤석열 격노’ 2년만에 인정”…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해병특검 조사서 진술 번복
정치

“‘윤석열 격노’ 2년만에 인정”…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해병특검 조사서 진술 번복

임서진 기자
입력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대통령실 책임론이 다시 불거졌다.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이 2년 전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순직해병특별검사에 진술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정치권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7월 29일, 조 전 원장은 순직해병특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재한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당시 상황을 진술했다. 조 전 원장은 당시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이 채상병 순직 사건을 비롯한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로 적시한 수사단 결과를 보고하자, 윤 전 대통령이 “돌연 화를 냈다”고 털어놨다.

이러한 진술은 조 전 원장이 2023년 8월 국회에 출석해 “해당 회의에서 채상병 사건 관련 보고 자체가 없었고,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사실도 없었다”고 했던 과거 입장과 상반된다. 2년 만에 기존의 국회 증언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다.

 

문제의 회의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조태용 전 원장, 김용현 전 경호처장,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등 7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조 전 원장과 함께 김태효 전 차장, 이충면·왕윤종 전 비서관 등 총 4명의 진술을 추가로 확보했으며, 이들 모두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인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정치권은 진술 번복 사실을 두고 책임 소재와 관련해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야당은 “대통령이 부적절하게 사건 수사에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고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반면, 일부 여권 인사들은 “정확한 맥락과 진술 흐름을 기다려야 한다”며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다.

 

특검은 진술 확보에 따라 ‘VIP 격노설’에 대한 수사 속도를 높이면서, 아직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등 회의 참석자에 대해서도 소환조사를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이날 국회는 이번 조태용 전 원장의 진술 번복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특검 수사가 향후 대통령실 책임 공방과 정국 파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임서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태용#윤석열#해병특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