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개입 거부 86%”…여론조사, 국민 종교 영향력에 강한 반감 드러나
종교계의 불법 선거 개입 의혹이 정치권을 강타하는 가운데, 국민 대다수는 종교의 정치 개입을 단호히 거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꽃’이 9월 12일부터 13일까지 전국 성인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조사에서 ‘종교가 정치에 직접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86.3%에 달했다. 이에 비해 ‘개입해도 된다’는 의견은 10.3%에 그쳐, 두 응답 간 격차가 76.0%포인트로 크게 벌어졌다.
최근 신천지와 통일교의 불법 선거 운동, 청탁 시도 등이 연이어 특검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종교 집단의 정치 개입에 대한 경계심이 여론조사 결과로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권역별로 보면 호남권(92.6%)이 가장 높은 반대율을 기록했으며, 타 권역 역시 모두 84% 이상이 같은 입장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대(91.9%)를 중심으로 전 연령에서 80%가 넘는 비율로 반대했다. 성별에도 큰 차이가 없어 남녀 구분 없이 모두 85% 이상이 종교의 정치 개입에 반대 의견을 냈다.

지지 정당·이념 성향별로도 큰 차이가 감지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6.0%, 국민의힘 지지층의 63.2%가 ‘개입 불가’라고 답했고, 무당층도 87.6%로 비슷한 결과였다. 진보층(93.6%), 중도층(89.7%), 보수층(72.8%) 모두 다수의 응답자가 종교의 정치 개입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같은 기간 진행된 ARS조사에서도 결과는 일치했다. 종교의 정치 개입을 반대한 응답이 80.7%에 달했으며, 찬성은 11.9%에 그쳤다. 민주당 지지층(95.6%)과 국민의힘 지지층(52.3%) 모두 반대가 과반을 넘었고, 이념별로도 진보(92.0%), 중도(83.4%), 보수(64.8%) 순으로 반대가 압도적이었다. 지역·연령·성별 구분 없이 최소 75% 이상이 종교의 정치 영역 진출을 원하지 않는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일부 종교단체의 집단 조직력과 신도 결집력이 당내 경선, 공천 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도 “종교와 정치의 거리두기에 대한 국민 요구가 확인된 만큼, 제도적 차원의 견제와 감시 체계 보완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양대 조사 모두 응답률·표본오차 등에서 통계적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화면접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1003명(응답률 11.9%,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 ARS조사는 1006명(응답률 2.1%,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이다. 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정치권은 신뢰 상실을 우려하며 종교계와 정치권의 유착 차단, 제도적 차원의 재발 방지 논의 등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 여론이 종교와 정치의 분명한 선 긋기를 강하게 주문한 만큼 향후 정치권의 제도개선 논의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