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파월, 트럼프 행정부 압박에 사퇴 합의”…미 연준 수장 교체 긴장 고조
국제

“파월, 트럼프 행정부 압박에 사퇴 합의”…미 연준 수장 교체 긴장 고조

신유리 기자
입력

현지시각 7월 11일, 미국(USA) 워싱턴D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Jerome Powell)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의 전방위 압박에 따라 의장직 사퇴에 합의한 사실이 공식 발표됐다. 이번 사태는 2025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중앙은행 독립성과 정치적 압력 간 힘겨루기가 재점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과 경계심을 자극하고 있다.

 

파월 의장의 사퇴 합의는 연방주택금융청(FHFA)의 빌리 펄티(Billy Pulte) 청장이 내놓은 성명을 통해 7월 11일 오후 전격 공개됐다. 파월과 트럼프 간 갈등은 이미 1년 전부터 표면화됐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월 9일 연방기준금리 3%포인트 인하를 공개적으로 요구하면서 양측 대립은 절정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규모 금리 인하를 통해 미 정부의 연 이자비용이 1조 800억 달러 넘게 줄 것이라는 논리를 폈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효과가 과장됐다고 일축했다. 미 국채의 상당 비중이 장기 고정금리로 발행돼 단기간 대규모 이자절감이 불가능하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번 사퇴 합의 직후에도 시장은 불안했다. 채권 금리는 오히려 상승했고, 투자자들은 “사퇴가 실제 실행될지 불확실하다”는 분위기를 감추지 않았다. 뉴욕타임스의 매기 해버먼(Maggie Haberman)은 CNN ‘더 소스(The Source)’ 프로그램에서 “트럼프가 파월을 해임할 가능성은 낮지만, 그의 임기를 최대한 불편하게 만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파월이 트럼프 행정부가 지명한 공화당원임에도 이런 압박을 받고 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고 지적했다.

 

법률적으로 미 대통령이 연준 의장을 임의로 해임할 수 없다는 점도 논란을 키웠다. 5월 대법원은 연준 의장 해임이 정당한 사유 없이는 불가하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공개 압박과 조롱, 예산 문제 등 다양한 우회적 전략으로 파월 흔들기에 나섰던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연준 본부 ‘이클스 빌딩(Eccles Building)’의 25억 달러 규모 리노베이션 예산을 둘러싼 논란이 대표적이다. 예산국장 러셀 보우트(Russell Vought)는 파월에게 공식 서한을 보내 “이 프로젝트는 고대 세계의 8대 불가사의급”이라고 비꼬았고, 트럼프 측은 이를 방만 경영의 상징으로 지목했다.

 

파월 의장은 6월 상원 청문회에서 “새 대리석, VIP 식당, 옥상 정원 등은 없다”고 직접 해명했다. “대리석은 기존 자재를 재설치 중이고, 추가 시설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나 의혹은 계속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퇴가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 해임은 아니지만, 노골적인 정치적 압박이 중앙은행 운영의 독립성에 심각한 충격을 줬다고 평가한다.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는 “파월 사건은 미-중앙은행 관계의 전환점”이라 분석하며, 전례 없는 정치 개입이 금융 규범 약화로 이어질 위험을 경고했다. 시장의 불신과 정책 불확실성 증대, 후임 인선 과정에서의 추가 혼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향후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카드를 꺼낼지, 미국(USA) 연준의 후임 리더십이 어떻게 구축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국제사회와 금융시장 역시 파월 의장 사퇴 이후의 미 통화정책 기조 변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롬파월#트럼프#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