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묘지 유골함 물 고임 재안장 추진”…권오을 보훈부장관, 친환경 유골함 확대 방침 밝혀
국립묘지 유골함의 물 고임 현상을 둘러싼 유족들의 불만과 사회적 논란이 커진 가운데, 국가보훈부가 재안장과 친환경 유골함 확대 등 종합 대책을 내놓았다. 배수 개선을 비롯한 근본책을 마련하되, 유족 요청시 재안장과 안장 방식 변화까지 폭넓게 수용하기로 하면서 국립묘지 운영 개선 논의가 다시금 부상했다.
15일 국가보훈부는 국립묘지 유골함 물 고임 문제와 관련, “유족이 희망하면 재안장을 추진하겠다”며 “생분해 종이로 만든 친환경 유골함을 활용한 재안장 역시 적극 권장하겠다”고 밝혔다. 전국 12개 국립묘지 가운데 일부 도자기형 유골함을 안장한 묘역에서 물 고임 현상이 발견되자, 조경·토목·장례 등 분야의 5인 전문가 자문단 현장 실태조사가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봉안묘에 도자기형 유골함을 매장할 경우, 배수 시설을 충분히 갖춰도 호우와 결로 등으로 유골함에 물이 고일 수 있다”며 “친환경 유골함 등 안장 방식 전환과 배수 시스템 개선이 필수적”이란 의견을 냈다. 이에 따라 국가보훈부는 향후 국립묘지 조성 때 자연장지 선택권을 대폭 확대하고, 4·19민주묘지와 5·18민주묘지에서 쓰던 석관 사용은 지양하기로 했다.
물 고임 방지를 위해 지하 수위 측정과 지하수 배출이 가능한 ‘집수정’도 전국 묘역에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올해 임실호국원부터 시작해, 국립대전현충원 등 전국 대상지로 확대될 방침이다. 또한 자갈, 유공관을 묻는 배수시설 ‘맹암거’ 역시 취약 구역 중심으로 증설된다. 5·18민주묘지는 연내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국가보훈부는 이와 별개로 봉안묘 지역에 물 고임 측정용 유골함을 따로 설치해 분기별로 점검하는 등 관리 체계도 한층 촘촘하게 구축한다. 앞으로는 국립묘지 전체 배수 상태를 반기마다 전문가 조사로 관리할 계획이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국립묘지 유골함 물 고임으로 유족과 국민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 대한 마지막 예우가 실현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대책을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번 대책이 유족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는 평가와 함께, 사후 관리 시스템 전반의 투명성·효율성 제고가 더욱 중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향후 국가보훈부는 맞춤형 대책 추가 검토, 국립묘지 조성·관리에 관한 제도적 개선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