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피지컬AI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정부, AI 주권 강화 전략 시동
IT/바이오

“피지컬AI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정부, AI 주권 강화 전략 시동

강예은 기자
입력

피지컬 AI가 국내 인공지능 산업의 미래 틀을 흔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피지컬 AI 생태계 확산을 위한 산학연 간담회’에서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과 예산, 법제화 추진 의지를 공식화했다. 피지컬 AI 도입은 한국이 데이터 주권, 기술 주권, 산업 주권을 아우르는 AI 패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부각된다. 정부와 업계는 이번 논의가 AI 전략의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피지컬 AI 산업의 전주기 생태계 구축에 집중된 다양한 전략이 제시됐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피지컬 AI는 우리나라 AI 발전의 중요한 역사적 모멘텀”이라며 “각 이해관계자가 지혜를 모아 주도권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태준 마음AI 대표도 “피지컬AI는 4차 산업혁명의 최종 단계로, VLA(Vision-Language-Action) 데이터를 확보해 시뮬레이터 훈련과 실제 환경 데이터가 융합된 새로운 AI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피지컬AI 통합 데이터센터는 기존 GPU 서버 집적 수준을 넘어 생성-검증-활용이 선순환하는 지역 혁신 거점으로, 국가적인 전략 투자가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조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 참여형 과제, 산업 특화 대형 언어모델(LLM) 개발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조준희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은 “피지컬 AI 정의와 실행 계획이 실질적으로 산업 확산과 고용 창출로 연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은 이미 대규모 투자를 통해 데이터센터와 피지컬 AI 플랫폼 확장에 나섰다. 한국 역시 독자적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피지컬 AI 확산에는 관련 예산 반영, 법제도 마련 등 정책 의제도 동반돼야 함이 논의됐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내년도 예산 반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회의에 참석해 “엔비디아 등 글로벌 CEO들도 피지컬AI의 미래성을 강조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인공지능 전략포럼을 통합 지원하고 한국의 세계 강국 도약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했다.

 

산업계는 결국 피지컬 AI 전환이 실제 산업 구조와 고용에 미칠 파장, 그리고 데이터 중심 정책이 뒷받침될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산업 정책, 그리고 데이터 주권 확보의 균형이 앞으로 인공지능 국가전략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피지컬ai#마음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