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마, 공모가 대폭 상향”…미국 IPO 시장 성장주 열풍과 맞물려 기대감 확산
현지시각 29일, 미국(USA)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피그마(Figma)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공모가를 주당 30~32달러로 최종 상향 조정했다. 당초 제시했던 25~28달러 대비 약 20% 오른 수준으로, 전체 기업가치는 188억달러(약 26조1,338억 원)까지 확대됐다. 이번 결정은 최근 미국 IPO 시장에서 성장주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며 투자자 수요가 급증한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피그마의 기업공개는 업계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피그마는 오는 30일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31일 ‘FIG’ 종목 코드로 공식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새로 책정된 기업가치는 2022년 어도비(Adobe)가 인수를 시도할 당시 제안했던 200억달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시장은 피그마의 독립 성장세와 소프트웨어 부문 경쟁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어도비는 지난해 12월, 유럽과 영국의 반독점 규제 미승인으로 피그마 인수 계획을 공식 철회했다.

공모가 인상 배경에는 IPO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며 투자 심리가 회복된 점이 크게 작용했다. 현지 금융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AI 및 성장주에 대한 투자 확대가 이어지며, 피그마와 같은 기업에 대한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IPOX’의 캣 리우 부사장 역시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노출이 있는 기업이 각광받는 경향이 뚜렷하다”며 피그마가 이 시장 트렌드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DA 데이비드슨 등 글로벌 투자은행도 피그마의 펀더멘털과 시장 점유율 확대를 강조했다.
피그마의 최근 실적도 시장의 높은 기대를 뒷받침하고 있다. 올 1분기 매출은 2억2,82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고, 순이익은 네 배 이상 늘어난 4,490만달러에 달했다. 또 지난 5월 한국어 제품을 출시하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장 환경 역시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 이후 미국 IPO 시장이 일시적으로 위축됐으나 코어위브(CoreWeave), 서클(Circle) 등 주요 성장주가 상장 후 큰 폭으로 주가가 오르며 반등세를 이끌었다. 코어위브는 3월 공모가 30달러에서 최근 100달러를 돌파했고, 서클도 6월 상장 후 주가가 180달러까지 올랐다.
이번 피그마의 IPO에는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JP모건이 공동 주간사로 참여한다. 금융업계는 AI 활용 기업 중심의 성장주 선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피그마의 상장 결과가 앞으로 미국 IPO 시장 회복과 기술주 투자 흐름에 중대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글로벌 IPO 시장과 소프트웨어 업종의 투자 환경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