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이 17표 영향”…정청래·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의원 표심 놓고 막판 신경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거를 앞두고 대의원 표향을 둘러싼 신경전이 정점에 달했다. 8월 2일 전당대회를 사흘 앞둔 7월 30일, 정청래·박찬대 후보가 대의원 1인의 표가 권리당원 17명과 맞먹는 ‘조직표’ 균형 논란을 두고 각각 대세론과 조직력 우위론을 내세우며 정면 충돌했다.
권리당원 투표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정청래 후보는 “1인 1표 시대, 당원 권리 확대가 시대정신”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 “지금까지 모든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우위가 없었다면 걷기 어려운 길이었다. 처음부터 오늘까지 당심(권리당원 표)이 의심(의원들 표심)을 압도했다”고 주장했다. 대의원 1명이 권리당원 17명의 표와 같은 가치를 갖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며 대세론을 강화했다.

반면 박찬대 후보 측은 조직력에서 앞선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후보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 박성준·노종면 의원 등 10여명과 함께하며 ‘세과시’에 나섰다. 박 후보 측 관계자는 “박 후보가 대의원 표심 우위에 따른 조직력에서 앞선다고 본다”며 “박빙 승부가 펼쳐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이훈기·김용민 의원 등도 온라인상에서 박 후보 지지를 호소했다.
박찬대 후보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가치 일치 필요성에는 동의하면서도 “점차 표가치를 등치시켜 나가고 있다”며 “관련 개정 논의는 방향은 같고 다만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청래 후보가 움직이는 판이 권리당원 민심에 달렸다고 힘주어 말하는 가운데, 박찬대 후보는 대의원 집중 투표를 통해 ‘골든크로스’ 역전을 노리고 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대의원 투표 15%, 권리당원 55%, 일반 국민 30%의 비율로 대표를 선출한다. 대의원은 1만6천명, 권리당원 투표권 보유자는 110만명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실제 반영 비율에 따라 대의원 1표가 권리당원 1표보다 17배 높은 것으로 집계된다. 대의원들은 지방의원 등으로 구성돼 있어 이른바 ‘오더 투표’ 등 조직동원력이 작동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날까지 진행된 충청·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는 누적 득표율 62.65%로, 박찬대 후보(37.45%)를 크게 앞서고 있다. 반면 비중이 높은 호남권 등에서 표차가 줄어들지, 대의원 투표에서 역전이 일어날지 판세가 유동적이다.
전당대회까지 남은 권리당원 투표는 이날부터, 국민 여론조사는 31일부터 이틀간 각각 진행된다. 대의원 투표는 대회 당일 실시된다. 이번 대회는 폭우 피해 등으로 인해 경선지별 일정을 통합하는 ‘원샷’ 방식으로 결과가 발표된다.
한편 두 후보는 이날도 ‘국민의힘 비판’을 접점 삼아 당내 선명성 경쟁을 이어갔다. 정청래 후보는 “내란당 뿌리 뽑아내겠다”며 “특검 소환에 불응하는 윤석열과 같은 악질 범죄자는 물리력을 동원해 끌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산업재해 근절 정책에도 힘을 실었다.
박찬대 후보는 비상설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구성을 두고 “여야 동수로는 내란 심판을 할 수 없다”며, 위원 구성 비율 조정 등을 담은 국회법 개정을 예고했다. 또한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가 민주당원 행세를 하며 당내 혼란을 유도하고 있다”며 법적 대응에도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는 권리당원 및 대의원 표심 향배에 따라 마지막 승자가 결정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대항마 없는 정청래 대세론, 조직 결집 승부를 거는 박찬대 측 전략 모두가 접점 없는 대립 구도를 형성하면서, 개표 당일 최종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