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년 잠항 시대 마침표”…해군 장보고함 마지막 항해, 연말 퇴역 수순
군 현대화 흐름과 함께 성장해 온 대한민국해군의 상징 장보고함과 잠수함사령부가 이별을 앞두고 있다. 우리 해군 첫 잠수함으로 잠수함 전력의 출발점이었던 장보고함이 마지막 항해에 나서면서, 향후 한국형 잠수함 전력 재편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해군은 19일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군항에서 장보고함이 마지막 항해를 한다고 밝혔다. 1992년 독일에서 인수된 장보고함은 이날 오후 진해군항을 떠나 약 2시간 동안 항해한 뒤 귀항해 계류할 계획이다. 연말 공식 퇴역을 앞둔 상징적 항해다.

이날 항해에는 장보고함 첫 항해를 맡았던 안병구 초대함장 예비역 준장과 당시 무장관, 주임원사 등 초기 인수 요원 4명이 승조원들과 함께 탑승했다. 해군은 장보고함이 최종 입항하는 시각에 맞춰 진해군항에 정박한 모든 잠수함이 일제히 기적을 울려 임무 완수를 기리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장보고함은 1988년 독일 HDW조선소에서 건조를 시작해 1991년 진수됐고, 1992년 우리 해군에 인수됐다. 이듬해인 1993년 6월 정식으로 취역하면서 한국 해군은 자체 잠수함 전력을 보유한 국가로 올라섰다. 해군은 첫 잠수함의 함명을 통일신라 시대 청해진을 기반으로 해양을 개척한 장보고 대사의 이름에서 따 장보고함으로 결정했다.
장보고함은 1992년부터 2025년까지 햇수로 34년간 지구 둘레 15바퀴를 넘는 약 34만 2천 마일, 우리 거리 기준 약 63만 3천 킬로미터를 안전하게 항해했다는 설명이다. 해군 관계자는 장기간 운용 과정에서 인명사고 없이 작전 임무를 마쳤다는 점을 들어 우리 해군의 잠수함 운용 및 정비 능력 고도화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특히 2004년 환태평양훈련에서 장보고함은 미국 항공모함을 포함한 함정 30여 척을 상대로 모의 공격 훈련을 수행하면서 훈련 내내 단 한 차례도 탐지되지 않았다고 해군은 전했다. 이와 같은 실전형 훈련 성과는 당시 동맹국 해군에 우리 잠수함 전력의 잠항 능력과 전술 운용 수준을 각인시켰다는 평가도 뒤따랐다.
장보고함은 2023년까지 전방 배치 작전 임무를 수행했으며, 작년부터는 훈련함으로 전환돼 잠수함 승조원 교육훈련과 자격 유지 훈련을 지원해 왔다. 전력 최일선에서 후방 교육 플랫폼 역할로 임무가 바뀌었지만, 잠수함사령부 내 세대 교체 과정에서 장보고함이 수행한 ‘가교’ 역할은 결코 작지 않았다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이제권 장보고함장 소령은 “장보고함은 잠수함사령부 창설의 초석을 다진 잠수함부대의 꿈이자 도전의 상징이었다”며 “앞으로도 장보고함의 개척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는 침묵의 수호자로서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현역 장병들 사이에서도 장보고함 세대의 경험을 어떻게 승계할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 안팎에서는 장보고함 퇴역이 곧 한국형 잠수함 전력 체계의 세대 전환을 상징한다고 보고 있다. 이미 배치된 중형 잠수함과 향후 추진될 차세대 잠수함 사업이 동북아 해양 안보 지형과 맞물리면서, 국방부와 해군의 전략 조정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뒤따른다.
해군은 장보고함 연말 퇴역 이후 차기 전력 운용 구상과 함께 기념사업 추진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방부는 잠수함사령부 전력 현대화와 연동해 장보고함의 상징성과 운용 경험을 후속 전력 발전 계획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