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감장마다 질타 쏟아지자”…쿠팡, 위기관리 허점 ‘정치권 도마’

강민혁 기자
입력

정치권과 쿠팡 간 첨예한 공방이 이어졌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 1위 기업인 쿠팡이 올해 국정감사에서 수사 외압 의혹부터 위기관리시스템 미흡 논란까지 5개 상임위원회 도마에 올라 집중 추궁을 받았다. 박대준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상임위마다 출석 요청을 받으면서, 정치권과의 갈등이 심화되는 모양새다.

 

이번 국감에서 쿠팡에 대한 문제 제기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 정무위원회까지 전방위로 확산됐다. 각 상임위에서는 입점 수수료, 파트너스 광고, 노동 문제, 배달앱 운영상 불공정거래 의혹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가 제기됐으며, 특히 정무위에서는 김범석 쿠팡Inc 의장이 연이은 불출석 사유로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으로부터 고발 요구까지 받았다.

올해 국감 최대 이슈는 '쿠팡 수사 외압 의혹'이었다. 중부지방고용노동청 부천지청이 쿠팡 물류 자회사인 쿠팡풀필먼트서비스의 퇴직금 미지급 사건을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으나, 이후 인천지검 부천지청이 무혐의 처분한 과정이 논란이 됐다. 이 사건을 담당했던 문지석 부장검사는 지난 10월 환노위 국감에서 핵심 증거 누락 등 상급자 지시에 따른 의혹을 제기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어 23일에는 문 검사와 엄희준 지청장이 법사위 국감장에 출석해 대질 질의가 벌어졌고, 해당 의혹은 상설특검 수사로 이어졌다.

 

정치권에서는 쿠팡의 거듭된 국감 소환과 문제 제기 배경을 두고도 공방이 거셌다. 여야는 '쿠팡을 위한 무혐의 처리' 의혹이 어디까지 밝혀질지 주목하는 한편, 노동 현장과 공정거래 질서 이슈를 중심으로 상반된 주장을 내놓았다. 여당 측에서는 사법처리 절차의 공정성 확보와 기업책임 이행을 주문했고, 야당에서는 쿠팡 경영진의 불출석과 조직 구조 문제를 집중 부각했다.

 

전문가들과 유통업계에서는 쿠팡의 급격한 외형 성장에 비해 내부 조직은 미성숙하며, 위기관리와 기업윤리 등 제도적 시스템이 충분히 구축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외형은 키웠지만, 인력 운용과 시스템 마련에서 지속적으로 불안정성이 드러나고 있다"고 짚었다. 또 본사가 미국에 있는 이중구조 역시 조직과 위기관리 방식의 혼선 원인으로 지적됐다.

 

쿠팡은 로켓배송 시스템 확대와 중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창출 등 긍정적 성과를 강조했지만, 정치권과 업계, 소비자들은 "쿠팡이 내부 혁신 없인 신뢰 회복이 어렵다"고 쓴소리를 보냈다. 이에 따라 국회는 쿠팡 관련 논란을 법제화 및 정책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다룰 계획이며, 향후 특검 수사 결과가 향방을 가를 전망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쿠팡#국정감사#수사외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