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보이스피싱 잡는다”…정부, 통신-금융 개인정보 보호 고삐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이 실시간 금융사기 차단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가 금융사와 연계해 내놓을 예정인 이번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의 전화 수발신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를 선제적으로 예측·분류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 서비스를 이용자 피해 예방과 개인정보 오남용 방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주문하며, 업계의 향후 서비스 준비와 경쟁 구도의 분기점으로 평가했다.
이번에 심의·의결된 서비스는 이동통신사가 보유한 통화 및 문자 내역 데이터를 인공지능(AI) 모형으로 학습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수사기관이 공유한 범죄 전화번호의 패턴을 AI가 습득, 보이스피싱과 유사한 통신 패턴을 보이는 번호를 ‘의심번호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한다. 금융사는 고객이 의심번호와 접촉했는지 조회해 위험 거래를 판별, 필요 시 자동으로 차단에 나선다. 정상 통화가 오탐지되는 사례가 있으면, 실제 정·오탐 데이터가 다시 통신사로 회신돼 AI 모델 개선에 반영된다.

서비스의 실효성은 보이스피싱 사기범이 진화하는 상황에서 통신·금융 데이터 융합이 실시간 탐지의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데 있다. KT, LG유플러스 뿐 아니라 향후 SK텔레콤도 참여하면 전국 모든 이용자 대상 자동 탐지 서비스 확산이 전망된다. 금융사는 최신 의심번호 DB를 바탕으로 거래 차단부터 사후 피해 책임 경감까지 대응 가능성이 높아진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 기반 이상 거래·통화 탐지 기술이 본격 적용되는 추세다. 미국 주요 은행, 유럽 통신사는 자사 AI 플랫폼에 실시간 데이터를 연결해 사기 탐지 모델을 고도화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는 개인정보와 통신비밀 관련 규제가 엄격해, 서비스 도입과 상용화에 있어 정부 차원의 세밀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수적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번 서비스가 이용자 피해 예방 목적에만 제한적으로 쓰이도록 관리 방안을 의무화했다. 이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양측의 개인정보처리방침 공개, 통신사-금융사 간 위탁 업무 계약, DB 이용 목적 제한 등을 권고했다. 금융사는 고객의 금융사기 노출 상황에서만 번호 DB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정밀하게 회신해 AI 오탐 방지에 협력해야 한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AI 기반 보이스피싱 사기 대응이 본격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AI가 실시간으로 수사정보와 통신데이터를 결합해 사기 신호를 감지한다면, 한국 금융 플랫폼의 신뢰도를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개인정보 활용의 경계와 데이터 관리 투명성, 빅데이터-금융기관 연계의 법제도 강화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산업계는 이번 서비스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