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항생제 내성 감시”…식약처, 글로벌 정책 해법 논의
AI 기반 감시기술이 식품 산업의 항생제 내성 대응 전략을 전환시키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6일부터 이틀간 개최하는 '제5차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 국제 콘퍼런스'(GCFA)에서 글로벌 전문가들과 함께 항생제 내성 감소와 식품안전 혁신에 초점을 맞춘 정책·기술 동향을 논의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행사가 식품 공급망 내 항생제 내성 관리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식약처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미국, 유럽연합 각국 규제기관, 국내외 학계, 산업계 전문가가 집결해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의 글로벌 동향을 분석한다. 첫째 날에는 모센 나가비 워싱턴대 교수의 기조 발표와 함께, 유럽연합 등에서 추진 중인 항생제 적정 사용 정책과 규제 흐름, 정부와 산업계의 실질적 관리 방안이 집중적으로 공유된다.

기술적으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항생제 내성 감시 체계가 중요한 의제로 떠오른다. AI 알고리즘 기반의 내성균 추적 시스템은 기존 통계 기반 감시보다 정확도와 실시간성이 대폭 개선된 구조를 보인다. 또한, 세균 특이적으로 감염을 억제하는 바이러스(파지)를 활용한 대체치료제 개발과 FAO의 글로벌 항생제 내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성과도 발표된다. 이로써 식품공급망 내 데이터 중심의 조기경보 체계를 실현하는 기반이 탄탄해지고 있다.
예방 차원에서 국내외 식품기업들은 항생제의 남용을 줄이는 자동화 생산·관리 솔루션, 첨단 위생 모니터링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각국은 고령층·어린이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내성균 발생 경로를 추적·차단하는 제도도 강화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AI와 빅데이터 기반의 감시 시스템은 국제 표준과 연계돼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이 각기 자국 중심 내성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으나, 데이터 공유와 표준화에 관한 다국적 협력 필요성도 거론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내성균 모니터링을 위해 신속 보고 의무제, 정기 사육장 검사 등을 도입했다. 미국 역시 CDC를 중심으로 민간과 공동 개발 중인 AI 감시플랫폼 실증 사례가 확대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식품용 항생제 관리 규제, 데이터 보호 및 국제 인증 문제 등이 주요 과제로 지목된다. 식약처는 올해 신진 연구자 포스터 세션, 민관 협력 저감 활동 발표를 통해 산·학·관 협력 범위를 넓혀간다는 방침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각국 정책 경험과 신기술 협업이 이번 콘퍼런스의 주된 가치”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 관리가 단일 국가 정책을 넘어 국제공조체계 구축으로 진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는 AI 기반 기술과 글로벌 거버넌스가 실제 식품안전 현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