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투쟁 카드 만지작”…국민의힘, 아스팔트 우파 연대론에 지도부 선 그어
민주당의 특검법 통과와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움직임을 둘러싸고 국민의힘이 장외투쟁 가능성을 본격 거론하면서 강경 보수 진영과의 연계 여부가 정치권의 새로운 충돌 지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야의 극한 대치 속에서 여권의 장외 행동이 ‘극우 프레임’ 논란과 당내 내홍 재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합의에서 이탈해 강도 높은 특검법을 밀어붙이고 내란특별재판부까지 거론하자, 강경 대응과 함께 우파 대연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야당 탄압 독재정치 규탄 대회’ 현장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발언이 이어졌다. 임이자 의원은 “민주당은 전교조, 민노총과 똘똘 뭉쳐 우리를 겨냥하는데 이제 우리도 뺄셈 정치를 그만하자”며, 우파 진영이 결집해야 한다고 외쳤다. 또 김민수 최고위원은 “우리는 광장으로 나가야 한다”고 언급해 장외투쟁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장외행동이 실제 이뤄질 경우, 전통적 보수지지층 외에 이른바 ‘아스팔트 우파’ 세력의 자연스러운 합류가 불가피하다는 점도 지도부의 고민거리로 지적된다. 12일 국회 집회장에는 ‘도둑질을 멈춰라’, ‘부정선거 발본색원’, ‘윤 어게인’ 등 극우 성향 구호가 등장했고, 여권 일각에서는 이들의 목소리가 전면 부각될 경우 오히려 여당 내의 ‘극우 몰이’를 자초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컸다.
지도부 역시 노선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장동혁 대표는 취임 직후 “모든 우파 시민과 연대해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는 데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를 공언하고도 이행하지 않았고, 아스팔트 우파의 상징인 전한길 씨를 주류로 끌어들이는 데도 선을 그어왔다. 전당대회 이후 잠잠하던 당내 갈등이 다시 수면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부담 요인이다. 김재섭 의원 등 소장파와 찬탄파는 “광장 세력과 결합하면 ‘황교안 시즌2’가 될 것”이라며 극우 세력과 거리를 두자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은 이번 사안을 통해 원내외 병행 투쟁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이 절대다수 의석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법사위 간사 선임마저 막히는 등 원내 대응이 한계에 달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여당 주도의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패스트트랙 논의가 가시화되고, 오는 25일 본회의에서 검찰청 폐지 및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법안이 강행 처리되면 대규모 장외 집회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장외 투쟁은 국민 공감대가 뒷받침될 때 가능하다”며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고 언급, 지도부 차원의 신중론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은 여야가 합의한 민생경제협의체 논의를 활용해 협치를 요구하고, 필요시 여당의 독주 프레임을 부각시키는 명분 쌓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안팎에선 국민의힘이 본격적인 장외 투쟁으로 방향을 전환할 경우, 아스팔트 우파와의 결합이 가져올 파장과 당내 분열 심화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국회는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법안 추진을 둘러싸고 치열한 줄다리기를 이어갔으며, 여야의 강경 대치로 정국의 새 갈등 축이 형성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