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협력 업그레이드”…조현 외교부 장관, 일본·미국 연쇄 방문 배경 강조
한일 협력과 한미 동맹을 둘러싸고 조현 외교부 장관의 연쇄 방문 외교가 주목된다. 29일, 조현 장관이 일본 출국길에서 한일관계와 한미일 3각 협력 강화 의지를 내비치며 취임 후 첫 공식 외교 무대에 나섰다. 양국 관계 현안은 물론 북핵 문제까지 정국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29일 일본 방문 직전 취재진과 만나 “한일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뿐 아니라 한미일 상호 협력 관계, 그리고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정책을 실용외교에 기초해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외교부 장관이 돼서 맨 먼저 일본을 찾는 건 이례적”이라며,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양국 미래지향적 협력 방안과 함께 동북아 정세, 역사 문제도 논의할 뜻을 드러냈다.

특히 조 장관은 한일 주요 과제로 꼽혀온 역사문제 논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앞으로 긴 호흡이 필요한 이슈다. 상호 도움이 되는 분야를 찾으며 미래 지향적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의 미일 관세 협상 경험에 대해선 “우리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어 꼬치꼬치 물을 필요는 없을 것 같다”며 신중한 접근을 취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온 한일 셔틀외교 복원 등 주요 메시지도 일본측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조현 장관은 일본 방문에 이어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외교장관회담에 나선다. 그는 “한미 동맹 현대화 등 포괄적 강화 방안을 미측과 논의할 계획”이라며, “한미일 협력의 미래,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한 폭넓은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미국 고위 당국자와 싱크탱크 전문가들도 두루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핵보유국 지위 인정 시 미국과 대화 의사를 일부 내비친 담화에 대해 조 장관은 “보다 신중히 분석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확성기 중단 등 분위기 전환 조치가 있었다”며, “선순환 대화 구조에 맞는 적절한 대응을 관련 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밝혀 북핵 이슈에 대한 실용적 접근 방침도 시사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조현 장관의 이번 일본·미국 연쇄 방문이 이재명 대통령의 대외정책 기조와 맞물려 한미일 삼각 협력, 북핵 대응 등 외교 안보 환경 변화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 나온다. 정부는 한일, 한미 외교 채널을 기반으로 실질 협력 강화와 한반도 긴장 완화 해법 마련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