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차협력 새 시대”…김동연, 중국 충칭시와 우호협력 협약 체결
한중 지방정부 협력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중국 충칭시 우두호텔에서 후헝화 시장을 비롯한 충칭시 지도부와 우호협력 협약을 맺으며 정치·경제 교류에 전면적으로 나섰다. 경기도와 충칭시는 교류 확대를 위한 첫 양해각서(MOU)를 체결, AI를 포함한 첨단산업에서의 교차협력까지 포괄적 상생을 약속했다.
이날 협약을 시작으로 경기도는 중국 중앙정부 직할 4대 도시 중 베이징, 상하이, 텐진에 이어 두 번째로 충칭시와 공식 우호 관계를 맺게 됐다. 양측은 경제통상, 과학기술, 교육, 문화, 관광, 도시관리 등 폭넓은 분야에서 실질적 교류를 합의했다. 또한 공식 대표단 교환, 국제행사 동참, 서한교류 등 지속적인 소통 창구도 열어두기로 했다.

협약식에서 김동연 지사는 "충칭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마지막으로 있었던, 한국민에게 특별한 곳"이라고 말하며 역사적 의미와 더불어 "경기도와 산업구조가 비슷하면서 보완할 지점도 크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향후 판교 등 경기도 내 6개 AI 클러스터와 충칭시 량장지구의 교차 협력, AI 분야 기업 간 진출과 투자 활성화를 즉석에서 제안했다. 현장에서 후헝화 충칭시장도 "양해각서가 교류의 새 장을 열 것"이라며 김 지사의 제안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정치권과 산업계에서는 경기도와 충칭시가 AI, 바이오, 스마트 제조 등 신산업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함에 따라 한중 지방정부 간 새로운 교류 지평이 열릴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충칭시는 중국 내 인구 3천200만 명, 경제규모 4천477억 달러(2023년, 성장률 5.7%)를 자랑하는 경제·물류 중심지다. 이미 SK하이닉스, 포스코, 한국타이어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진출해 있는 만큼, 이번 교류가 실질적 산업협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시선이 쏠린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충칭시 상무위원회가 설립하는 한중경제우호협력센터, 량장신구관리위원회와의 청년인재 교류 등 구체적 후속 사업도 곧 추진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협약이 경색된 한중관계 속에서 지방정부 차원의 실리외교 사례로 꼽힌다고 평가했다. 경기도는 이미 2017년 충칭시에 비즈니스센터를 설립해 협력기반을 닦아온 바 있다. 한편, 김동연 지사와 후헝화 시장은 내년 충칭 기업박람회 공동 개최, 지역관광 마케팅, 협약 이행을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 등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도와 충칭시가 맺은 첫 공식 교류 통로는 한중 지방정부 간 다변화된 협력 확산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향후 첨단산업 및 청년교류, 기업 투자 지원에서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