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생사확인부터 해야”…이재명 대통령, 남북 인도적 교류 강조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확인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3일 인천 강화평화전망대를 방문해 실향민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북측의 인도적 협조와 남북 간 교류 재개의 필요성을 강하게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남북 이산가족들이 서로 생사 확인이라도 하고, 하다못해 편지라도 주고받게 해 주는 것이 남북 모두에 있어 정치의 책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며 “북측에도 인도적 차원에서 (이런 조치를) 고려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어 “군사적으로, 정치적으로 대립하고 갈등하고 경쟁하더라도 인도적 차원에서는 (이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다른 영역을 제외하더라도 생사확인 및 최소한의 소통 부분은 어떤 상황이 되더라도 꼭 진척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거듭 말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장기간 중단된 데 대한 안타까움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한때는 이산가족 상봉도 하고 소식도 주고받았는데 이 역시 완전히 단절돼버렸다”며 “모두 저를 포함한 정치인들의 부족함 때문이라는 자책감이 든다”고 말했다.
최근 남북 관계가 지나치게 적대적으로 변화한 배경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은 남북 관계가 완전히 단절돼서 상태가 매우 안 좋다. 너무 적대적으로 변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남북의 휴전선이 그어진 지 오랜 세월이 지났다. 제가 조금 전 강 위를 보니 기러기들이 쭉 줄을 지어 날아가더라. 동물들은 자유롭게 날아다니는데 사람들만 선을 그어놓고 이 선을 넘어가면 가해를 할 것처럼 총구를 겨누고 수십 년을 보내는 것이 참 안타깝다”고 심경을 전했다.
남북관계 진전에 대한 현실적 한계도 인정했다. 이 대통령은 “만나고, 같이 살고, (예전으로) 되돌아갈 여지가 생기면 더 바랄 바가 없을 것”이라면서도 “지금은 쉽지 않다”고 했다. 그러나 “하루빨리 남북 간 적대성이 완화되고 관계가 개선돼야 한다. 소통·교류·협력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져 혈육 간 생사도 확인 못 하는 지금의 참담한 현실이 나아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실향민들의 고령화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연세도 많고, 시간도 그렇게 많이 남지는 않았다. 결과를 장담하기는 어렵지만 사람이 하는 일이니 정성을 다하고 최선을 다하다 보면 또 좋은 상황으로 바뀔 수 있다고 믿는다. 서글픈 추석이지만 희망을 갖고 웃으며 보내시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이 남북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힌 데 주목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이산가족 문제를 대북관계 복원의 실질적 첫 단추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북한의 무응답 기조가 이어지는 현실에서 실질적 진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이날 정부는 남북 간 인도적 교류 복원을 위해 실질적 방안을 모색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정치권은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며 후속 조치 마련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