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5조9천억 원 LFP 수주”…북미 ESS 시장 확대 기대감에 대규모 계약
LG에너지솔루션이 5조9,442억 원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7월 30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2023년 연결 매출의 23.2%에 해당하며,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확대와 친환경 정책 기조에 힘입어 대형 수주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전기차용 배터리 성장 정체를 ESS 수요로 돌파하려는 제조업계의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이번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은 8월 1일부터 3년간 진행되며, 추가 협상에 따라 최대 7년까지도 연장이 가능하다. 고객사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업계는 테슬라를 유력하게 거론하고 있다. 테슬라는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미국 내 LFP 배터리 공급망 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오하이오, 테네시, 미시간 현지에 국내 업계 최다 배터리공장을 가동 중이다.

이번 계약 물량은 단가 기준 셀당 85달러로 환산시 약 50GWh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이 북미에서 생산 중인 ESS용 LFP 제품 역량을 대규모로 투입하는 것으로, 지난해 3월 글로벌 에너지관리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체결한 4GWh 규모 주택용 ESS 배터리 공급 계약을 크게 상회한다. 회사는 올해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도 “ESS 매출 확대를 기반으로 하반기 수익성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에선 최근 북미 ESS 수요 급증, 친환경·에너지 자립 정책, 관세 이슈 등이 LG에너지솔루션 대규모 계약 배경으로 꼽힌다고 설명한다. 투자자들은 계약 기간 연장 여부, ESS 시장 성장 속도, 미국 내 배터리 생산거점 경쟁력 등이 LG에너지솔루션 주가와 수익성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해야 한다는 신중론이 나온다.
향후 글로벌 친환경 투자 확대와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 정책 변화가 계약 물량 및 업계 지형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속적인 ESS 중심 수주 확대 의지를 밝히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추가 대형 공급 계약 소식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국은 “국내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와 북미 공급망 안착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