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비판 송구”…최동석 인사처장, 과거 막말 논란에 공식 사과
고위공직자 막말 논란을 둘러싸고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29일 공식적으로 고개를 숙였다. 여권 일각에서 사퇴 요구가 제기된 가운데, 최 처장은 스스로를 매섭게 비판해온 시민 출신임을 강조하며 “상처받은 모든 분들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최근 국무회의에서도 거취 논란이 이어지면서 정치권의 긴장이 이어지고 있다.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은 이날 언론에 사과문을 배포하고 “그동안 고위공직자들을 매섭게 비판해왔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저의 비판으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입은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올린다”고 언급했다. 이어 “은퇴한 경영학자이자 인사조직론 전공자로서 우리 사회와 고위공직자들의 문제점을 직시해왔지만, 과거 거친 표현이 심려를 끼쳤다”며 “다시 한번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최 처장은 자신이 현재 공직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앞으로 비판을 더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이제는 제가 인사혁신처장 직무를 맡은 고위공직자가 되었으니 여러분의 비판을 받아들여야 할 시간이 된 것 같다”며 “제가 잘못하는 것이 있다면 여러분의 비판을 겸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향후 더욱 신중한 언행으로 국민 눈높이에 걸맞은 공직자의 자세를 갖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 참석한 최 처장은, 논란에 대해 “요새 유명해지고 있어 대단히 죄송스럽다”고 직접 언급했다. 동시에 공식 사과에는 거취 표명 등 사퇴 언급은 없어, 일각의 사퇴 요구에는 분명한 선을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과거 유튜브 방송 등에서 “문재인이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 비판하는 등 거친 언행으로 야권 뿐 아니라 여권 일부에서도 논란의 중심에 섰다. 여권 핵심 관계자 사이에서도 “고위공직자로서 문제의 소지가 있다”며 거취 정리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나 공식 사과 후에도 정치권 안팎의 여론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야당은 최 처장의 사과를 진정성 있게 평가하기 어렵다며 즉각적인 결단을 압박했고, 여권 일부는 “책임있는 자리인만큼 신중한 처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국정 운영 기조와 공직자 책임론이 맞물리면서,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의 거취를 두고 정치권이 정면 충돌하고 있다. 정부는 공직기강 강화 차원에서 향후 인사혁신처의 후속조치를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