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문화창조산업 협력 필요”…이재명 대통령, APEC ‘경주선언’으로 K-컬처 성장 동력 강조

허준호 기자
입력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1개 회원국 정상들이 경주 정상회의에서 '문화창조산업' 협력의 필요성을 공식 명문화하는 데 합의했다.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1일 열린 회의에서 채택한 ‘APEC 정상 경주선언’은 무역·투자, 디지털 혁신, 포용적 성장 등 핵심 의제를 포괄하며, AI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까지 담아내 정회원 간 정책욕구가 집약됐다.

 

경주선언은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며 글로벌 무역체제의 도전과 AI·인구구조 변화가 가져올 장기적 함의를 언급했다. 정상들은 “모두가 혜택을 누릴 경제 성장을 위해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고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또 “견고한 무역과 투자가 지역 성장의 핵심임을 재확인한다”는 공동입장을 명시했다.

그러나 올해 경주선언에는 2021년부터 지속적으로 명시됐던 ‘WTO가 핵심인 규칙기반 다자간 무역체제’ 문구가 빠졌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무역 전문가들은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영항을 미친 결과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한편 대통령실은 “21개 회원이 무역을 포함한 주된 글로벌 경제 현안에 포괄적 협력을 제시한 점에 의미가 크다”며 “APEC 회원들은 연대와 협력정신을 복원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태지역 회복과 성장을 위한 회원 간 협력의지를 담았다”며 ‘혁신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과 ‘포용적 성장’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무역·투자 챕터 채택 과정의 이견에 대해선 “결과적으로 합의를 이끌어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특히 경주선언은 APEC 역사상 처음으로 ‘문화창조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하고, 해당 분야 협력 필요성을 국제 정상 문서에 명확히 담았다. 선언문은 “문화창조산업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긍정적 효과를 인식하고 지식재산권 보호의 중요성을 확인한다”며, 회원 간 대화·협력 증진 의지를 부각했다. 대통령실은 “K-컬처 등 문화산업이 아태지역 성장을 견인할 토대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정상들은 ‘APEC AI 이니셔티브’와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도 함께 채택했다. AI 이니셔티브는 회원들의 AI 전환, 혁신 성장, 인프라 투자 확대 및 역량 강화 정책을 포함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APEC 최초의 인공지능 공동비전으로, 한국의 AI 기본사회 등 핵심 정책을 아태지역으로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정상급 최초의 AI 합의문이란 데 의미를 더했다.

 

한편 인구구조 변화 공동 프레임워크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이슈를 역내 공동과제로 인식하며, 사회시스템 강화·인적자원 현대화·기술기반 돌봄서비스 강화·경제역량 제고 등 다섯 분야의 협력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APEC가 인구구조 변화를 핵심 과제로 공동 인식하고, 정책·협력 방안을 제시한 데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26년 ‘APEC 인구정책포럼’ 개최를 통해 정책 연계와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이번 경주선언이 아태지역 주요국의 경제협력과 신산업 정책 방향성을 새롭게 설정한 계기가 됐다며 주목하고 있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apec#경주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