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김건희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 착수”…해병특검, 외압 의혹 정조준
대통령실 외압 의혹을 둘러싼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가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이명현 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직접 사용했던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에 나서며 정국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특검의 이번 조치는 대통령 부부를 비롯한 고위 관계자들이 사건 당시 보안 통화수단을 이용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외압 및 구명로비 의혹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는 평가도 뒤따랐다.
정민영 해병특검 특검보는 30일 서울 서초동 특검사무실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지난주 대통령실과 국방부 군 관계자 비화폰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사단장 등 21명의 비화폰 통신기록을 국군지휘통신사령부 및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제출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특히 김건희 여사의 비화폰 사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 “사용한 것으로 파악했다. 본인에게 지급된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들 비화폰 명의자들의 2023년 7~8월, 이른바 ‘VIP 격노’ 시기를 중심으로 통신기록을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아울러 특검은 그간 윤석열 전 대통령,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주요 피의자 자택 압수수색을 통해 일반 휴대전화 기록을 확보해왔다. 그러나 외압이 의심되는 중요 시점마다 보안성 높은 비화폰이 동원됐을 가능성을 포착, 이번에는 국군지휘통신사령부와 대통령경호처를 상대로 추가 자료를 요청했다는 설명이다. 정 특검보는 “일반 휴대전화로 연락을 주고받은 기록은 어느 정도 확인됐으나 중간중간 비화폰 사용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누구와 언제 통화했는지 구체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여야 정치권은 특검의 비화폰 통신기록 조사 돌입에 다시 한 번 촉각을 곤두세웠다. 범야권은 “사건 은폐와 권력 비호의 실체를 반드시 밝혀야 한다”며 특검 조사를 적극 환영하는 입장이다. 반면, 여권 관계자 일부는 “정치적 의도가 짙은 수사”라고 반발했다.
해병특검팀은 이르면 이번 주 내 추가 통신기록을 모두 넘겨받고 정밀 분석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 외압 의혹 수사가 한층 탄력을 받을지 정치권은 물론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