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관세 인상, 연준 금리 인하에 변수”…미국 시카고 연은총재 신중론에 시장 긴장
국제

“관세 인상, 연준 금리 인하에 변수”…미국 시카고 연은총재 신중론에 시장 긴장

김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11일, 미국(USA)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오스틴 굴스비 총재가 최근 미국 정부의 대(對) 캐나다·브라질 신규 관세 예고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갑작스러운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 전망을 복잡하게 만들며, 미국 통화정책의 방향성에 추가적 불확실성이 생기고 있다.

 

굴스비 총재는 이날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물가가 오를지 아닐지 판단하기가 한층 더 어려워졌다”며 “통화정책 결정에 신중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투표권을 가진 대표적 비둘기파로,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등과 함께 기존에는 조기 금리 인하를 지지해왔다. 그러나 이번에 발표된 고율 관세가 물가를 올릴 가능성을 지적하며, 연준이 완화정책에서 한동안 관망 자세를 취할 것임을 시사했다.

美 시카고 연은총재 "관세 발표로 연준 금리인하 지연 우려"
美 시카고 연은총재 "관세 발표로 연준 금리인하 지연 우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브라질에 대해 8월 1일부터 50% 상호 관세율, 캐나다에는 35% 세율 인상 적용을 사전 고지했다. 이같은 조치는 시장에 충격을 주었고, 연준이 향후 금리 결정시 외부 변수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 신속한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압박을 이어가고 있지만, 통화당국은 관세발 불확실성에 보수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미국 현지는 연준 내부에서도 인플레이션 재확산 우려가 다시 불거졌다고 진단했다. 내년도 연준 의장 교체설까지 맞물리며,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 등 차기 연준 의장 후보군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국제 금융 시장에선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자극,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평가가 잇따른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정책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미 행정부의 무역정책과 연준의 통화정책 사이 긴장 구도가 한층 부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관세 부과 결정과 연준의 신중론이 향후 글로벌 경제 및 미국 내 투자 유동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스틴굴스비#트럼프#연방준비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