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자료 임의제출 협조”…대통령실, 해병특검 안보실 압수수색에 공식 입장
해병대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둘러싸고 대통령실과 해병특검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10일 해병대 사건 특별검사팀이 국가안보실에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VIP 격노설' 입증 자료를 요구하며 압수수색 절차를 진행했고, 대통령실은 즉각 "적극 협조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특검이 필요로 하는 대상(물건 및 자료)에 대해 확인 중"이라며 "적극 협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특검팀의 자료 요청에 따라 현재 국가안보실이 관련 자료, 특히 대통령실 회의록 등이 남아 있는지 점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표면적으로는 강제 수사 형식을 띠지만, 실제로는 임의제출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국가안보실이 압수수색 영장에 따라 특검에 필요한 자료를 내부적으로 선별해 제출하는 방식이다. 주요 임의제출 대상에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 당시의 공식 회의록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른바 'VIP 격노설'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며 격노했다는 정황에서 비롯됐다. 특검팀은 이 발언을 통해 대통령이 직접 경찰 이첩 보류 및 수사 결과 변경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규명할 핵심 증거로 관련 회의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실이 빠른 입장 표명과 협조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 주목한다. 여당은 "철저한 진상 규명과 대통령실의 소명으로 의혹 해소가 가능하다"고 해석하는 한편, 야당은 "청와대(대통령실)가 국가 안보 업무의 특수성을 내세워 자료의 충분한 제출을 회피할 수 있다"고 경계심을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이번 임의제출 절차의 투명성과 자료의 완전성 확보 여부가 향후 정국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만약 핵심 회의록과 증빙 자료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경우, 특검 수사의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향후 특검팀의 추가 압수수색, 당사자 소환 조사 등이 연이어 진행될 가능성에 정가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이 공식적으로 협조를 강조한 만큼, 특검은 국가안보실 자료를 토대로 VIP 격노설의 실체 규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