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무역질서 급변 공동 대응”…이재명–이시바, 셔틀외교 복원 의지 확인
급변하는 통상 환경과 한반도 안보 위기를 두고 한일 양국 정부가 공동 대응 의지를 재확인했다. 9월 30일 부산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경제·사회 협력부터 비핵화 전략까지 양국 주요 현안이 집중 논의됐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셔틀외교 복원과 협력 제도화에 뜻을 모으며 양국 관계 복원의 분기점을 마련했다.
정상 간 세 번째 공식 회담인 이날 논의는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76분간 진행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세계 무역 질서의 격변 속에 양국이 더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세상이 점점 어려워질수록 가까운 이웃 간의 정리와 교류가 중요하다"며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 역시 "공동의 이익을 찾아내 협력을 추진해 나간다면 얼마나 좋겠나"라고 화답했다.

정상회담 회의 직후 양국은 공식 공동발표문을 통해 ‘한일 공통 사회문제 대응 당국 간 협의체’ 운영 방침을 밝혔다. 발표문에는 저출산·고령화, 국토균형성장, 농업, 방재, 자살대책 등 사회 전반에 걸친 협력 강화 계획이 명시됐다. 아울러 2009년 이후 16년 만의 한일 과학기술협력위원회 개최 결정도 담겼다.
북한 핵 문제 등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도 논의가 집중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정부의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 노력을 설명하며 일본 측의 지지를 당부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구축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이시바 총리는 회담 뒤 일본 취재진에게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한일, 한미일이 긴밀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선 신중한 접근과 미래 협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인식이 부각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지향적 협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고, 이시바 총리는 "역사를 직시하는 용기와 성실함이 필요하다"며 한일 간 인식 차에도 불구, 공감대 확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양국이 경제·사회·안보 현안 전반에서 대화창구를 넓히면서, 향후 한일관계는 셔틀외교 기반의 실질 협력 시대로 재진입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상시적 협의를 이어가며 공동 과제 해결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