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XRP ETF는 이제 시작 단계”…리플, 기관 자금 유입 기대 속 초과상승 논쟁 가열

김다영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27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리플 XRP(엑스알피) 기반 상장지수펀드(ETF) 기대감이 부상하며 가격 급등과 함께 초과상승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움직임은 비트코인 ETF 초기에 관측됐던 기관 자금 유입 패턴이 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관측과 맞물려 국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외신 뉴스BTC에 따르면 암호화폐 분석가 Xfinancebull은 그레이스케일, 비트와이즈, 프랭클린, 카너리펀드 등이 이미 리플 XRP 관련 상품을 운용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블랙록과 피델리티 등 미국(USA) 대형 자산운용사가 아직 현물 XRP ETF를 신청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현재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며 향후 추가 자금 유입 여지를 강조했다. 비트코인 ETF 승인 당시 월가 자금이 대규모로 유입됐던 사례를 언급하면서, XRP 역시 유사한 경로를 밟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리플 XRP ETF 기대감 속 초과상승 논쟁…기관 수요가 향방 가른다
리플 XRP ETF 기대감 속 초과상승 논쟁…기관 수요가 향방 가른다

Xfinancebull은 리플 XRP가 일부 은행 결제망에서 활용되고 있고,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관련 인프라가 확장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ETF로 유입되는 자금이 단기 차익 실현성 자금이 아니라 일정 기간 유지되는 성격을 띨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초기 참여 기관들의 운용자산(AUM)이 8조원 이상으로 추산된다며, 본격적인 기관 유입이 이어질 경우 상당한 규모의 유동성과 매수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다른 분석가 RipBullWinkle은 최근 자금 흐름을 근거로 기관 재배분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같은 기간 비트코인에서는 약 1억5,100만달러 규모의 자금이 이탈한 반면, 리플 XRP에는 약 1억6,400만달러가 순유입됐다. 그는 이 같은 흐름을 “비트코인에서 일부 차익이 실현되는 동시에, 새로운 상승 스토리를 가진 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초기 징후”라고 해석했다.

 

시장 단기 동향도 눈길을 끈다. 분석가 TerraHaberTr는 비트코인이 최근 8만7,000달러 선을 회복했다며,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경우 9만∼10만달러 구간 재도전 가능성을 제시했다. 알트코인 전반에서는 낙폭이 컸던 종목을 중심으로 되돌림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으며, 리플 XRP 역시 2.20달러를 회복한 뒤 3.00달러선까지 추가 상승 여지가 거론되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시장 전반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외신 분석이 구조적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했다고 보긴 어렵다는 경계론도 함께 제기된다. ETF를 통한 자금 유입 규모는 각국 금리 수준, 달러 유동성, 규제 환경,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도 변화에 민감하게 좌우될 수 있어, 단기 패턴만을 기초로 장기 랠리를 단정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특히 미국(USA)과 유럽(EU)을 중심으로 한 규제 기조 변화는 암호화폐 ETF의 승인 범위와 운용 자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리플 XRP의 아시아 지역 결제 인프라 활용 사례가 곧바로 장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에는 제약 요인이 많다고 본다. 실제 결제 처리 규모와 수익성, 규제 리스크, 기존 금융망과의 경쟁 구도 등이 변수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기관 자금의 ‘유지 가능성’ 또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거나 리스크 오프 국면이 전개될 경우 언제든 달라질 수 있는 조건부 성격을 가진다.

 

국제 금융 매체들은 XRP ETF 논쟁을 비트코인 ETF 이후 두 번째 큰 시험대로 바라보는 분위기다. 일부 매체는 최근 자금 흐름이 “비트코인 중심 구조에서 특정 알트코인으로의 제한적 분산이 시작된 단계”라고 평가하면서도,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과 장기 수요 기반은 여전히 견고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보도에서는 “향후 몇 달 동안 미국(USA)과 기타 주요국 규제 당국의 승인 여부가 암호화폐 ETF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라는 분석이 실렸다.

 

향후 전망은 글로벌 금리 사이클과 달러 강세·약세 전환, 각국 규제 불확실성 해소 여부, ETF 승인 범위 확대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단기 반등이 이어지더라도 자금 유입의 지속성, 거래량 회복, 매크로 환경 개선이 동반돼야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국제사회와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XRP ETF 기대감을 둘러싼 이번 논쟁이 암호화폐 자산군 재편으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리플xrp#비트코인etf#기관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