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인재가 성장 좌우한다”…정부, 현장 중심 인재 정책 강화
IT/바이오

“AI 인재가 성장 좌우한다”…정부, 현장 중심 인재 정책 강화

장서준 기자
입력

AI 핵심 인재 확보가 글로벌 경쟁 시대의 국가 성장 동력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떠올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실행과제로 ‘속도감 있는 인재 양성·확보’를 공식화하며, 현장 주도의 정책 수립에 나서고 있다. 업계는 AI 개발 및 도입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재상과 산학연 협업 방식을 공유하며, 이번 논의가 한국 AI 산업의 체질을 바꿀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최근 바이브컴퍼니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AI 현장의 인재 수요와 양성 방안에 관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연수 NC AI 대표, 김경서 바이브컴퍼니 대표,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등 산업계와, 이성환 고려대 교수, 김선주 연세대 교수 등 대학 AI 교육을 이끄는 인사들이 참석했다. 류 차관은 “AI 기술 발전은 곧 인재 역량에 달려 있다”며 실질적 양성 목표와 현장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AI 기업들은 각사의 구체적 AI 개발·도입 사례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역량에 대해 설명했다. 데이터 엔지니어링, 대규모 모델 학습, AI 솔루션 실전 적용 등 산업 최전선의 요구가 단순 프로그래밍 능력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측은 AI 석박사 양성 과정과 산업 현장 접점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을 공유했다.

 

특히 바이브컴퍼니가 수행 중인 ‘생성AI 선도인재 양성사업’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국민대 등 4개 대학과 공동연구 체계를 갖췄다. AI 석·박사생을 기업 현장에 파견해 실제 과제 중심의 연구를 진행, 기업 수요와 인재 양성을 긴밀히 연결하고 있다. 정부의 이런 산학연 연동 전략은 미국·유럽 선진 AI 국가의 인재 정책에서도 핵심으로 부상 중이다.

 

국가 차원의 인재 확보 목표, 양성 규모, 운영 체계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업계는 글로벌 AI 기술 경쟁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양적·질적 인재 부족이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역시 현장 수요 반영, 업계·학계의 의견 수렴 과정이 반드시 필요함을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AI 산업의 성패는 결국 고급 인재풀 조성에 달려 있다”며 “현장과 교육계의 실질적 연계, 맞춤형 양성 프로그램 확대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가 실효성 높은 인재지원 정책으로 연결될지를 주목하고 있다. AI 인재 생태계 전반이 한 차원 도약하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류제명#ai#바이브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