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폭염 속 살모넬라 경보”…생닭·달걀 식중독 예방이 관건
IT/바이오

“폭염 속 살모넬라 경보”…생닭·달걀 식중독 예방이 관건

권하영 기자
입력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 가금류 및 달걀의 교차오염으로 인한 살모넬라균 식중독 발생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서울 서초구 김밥업체에서 발생한 130여 명의 집단 식중독 사례는 살모넬라균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살모넬라균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37도 전후에서 가장 활발히 증식해 폭염이 이어지는 7월에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여름철 식품안전 관리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살모넬라균은 닭, 오리 등 동물의 장내와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핵심 세균 오염 경로는 달걀과 생닭 취급 시 손씻기 소홀, 조리도구의 교차오염 등이다. 김밥, 달걀 지단 등 복합조리식품에서 특히 검출률이 높다. 감염 잠복기는 6~72시간으로, 발열과 복통, 구토 등 급성 소화기 증상을 유발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달걀 꼬투리가 깨진 상태로 구매하지 않고, 식품은 별도 냉장, 조리 도구는 종류별로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조리 시 중심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가열하면 살모넬라균은 사멸하므로, 노른자와 흰자가 완전히 익도록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생닭 등 가금류는 핏물이나 씻은 물이 다른 식재료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차해야 하며, 냉장고에서는 반드시 가장 아래 칸에 보관해야 한다.

 

미국, 유럽 등 해외 주요국 역시 여름철 가금류 및 달걀 취급 위생수칙을 강화하고 있다. IT/바이오 분야에서는 스마트 냉장고, 식품 온도 모니터링 센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식품안전 솔루션이 확산되고 있으나, 근본적 예방을 위해선 현장 조리자·소비자 모두의 위생 수칙 준수가 요구된다.

 

식약처 등 식품안전 감독기관은 달걀, 닭고기 등 주요 식재료 가열·보관 관련 지침과 음식점 대량 조리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보급하고 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한 규정보다 소비자 행동변화가 중요한 과제로 지목된다.

 

한 업계 전문가는 “여름철 폭염기 식중독 방지는 기술과 현장 위생관리의 균형이 좌우할 것”이라며 “IT/바이오 융합 솔루션으로 위생 수준이 높아지더라도, 조리·보관 원칙 준수가 궁극적 안전을 확보하는 열쇠”라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식중독 사태 이후, 식품안전 기술의 실제 현장 정착 여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살모넬라균#식중독#it/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