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로 취향 따라 흐른다”…플로, 음악 추천 방식 진화 시동
IT/바이오

“AI로 취향 따라 흐른다”…플로, 음악 추천 방식 진화 시동

임서진 기자
입력

인공지능(AI) 기반 음악 추천 기술이 음원 플랫폼 산업의 경쟁 구도를 새롭게 그리고 있다. 드림어스컴퍼니의 플로(FLO)는 AI가 이용자 첫 곡의 무드와 청취 이력을 분석해 맞춤 음악을 무제한 연속 재생해주는 ‘빠른 선곡’ 기능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업계는 AI 추천 기술 고도화가 음악 스트리밍의 활용 패턴과 추천 엔진 시장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본다.

 

플로의 ‘빠른 선곡’ 기능은 사용자가 홈 화면의 전용 메뉴에서 듣고 싶은 첫 곡을 지정하면, AI가 해당 곡의 분위기와 개별 사용자의 과거 청취 데이터를 조합해 이후 선곡을 자동화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기존 ‘빠른 재생’ 기능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첫 곡을 골라 주도권을 행사하면서도, AI가 취향 기반 추천 흐름을 이끌어 만족도를 높인다는 설명이다.

구현 방식 측면에서는 곡의 무드(분위기) 분석, 유사도 탐색, 개별 이용자의 히스토리 매칭 등 추천 알고리즘의 정밀화가 돋보인다. 플로는 ‘첫 곡을 포함한 100곡’으로 제한되던 기존 방식에서, 첫 곡 선택 이후 분위기별 곡을 무제한 연결하는 맞춤형 추천으로 업그레이드했다. 또 ‘익숙한 곡’, ‘신선한 곡’ 필터를 통해 어떤 유형의 음악을 더 듣고 싶은지 이용자 스스로 조정할 수 있어 청취의 다양성을 높였다.

 

음악플랫폼 시장에서는 취향 저격형 개인화 추천이 플랫폼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IT기업들은 연속 재생, 탐색 경로 단축 등 간편함을 앞세운 사용자경험(UX) 혁신에 힘을 쏟고 있다. 플로의 통계에 따르면 AI 추천 기능 활용 시 청취 곡 수가 더 많아지는 경향을 보여, 이번 신기능이 청취량 증가·음악 소비 확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주요 사업자 역시 AI 기반 추천 엔진을 고도화하며 개별 사용자 생활 패턴·감정 추적형 선곡 서비스를 확대 중이다. 플로는 개인 주도권과 AI 추천의 융합을 차별화 지점으로 강조했다.

 

개인화 추천 서비스의 확장에는 추천 정확도에 대한 책임, 저작권·공정 이용 등 데이터 윤리와 더불어, 알고리즘 투명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국내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 디지털플랫폼 규제 등 제도 환경 변화에 따라 기능 도입과 서비스 고도화의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음악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취향 분석과 맞춤 추천의 정확성이 음악 이용 경험과 플랫폼 락인 효과를 좌우할 것”이라며 “AI 추천 기술이 실제 사용자의 만족도와 음악 산업의 생태 교란자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음을 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AI 음악 추천 기술이 계속 실사용자 행동을 혁신할지, 또 플랫폼 내 차별화 경쟁을 가속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임서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플로#ai추천#음악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