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셔틀외교 본궤도”…이재명·이시바, 무역질서 변동기 협력에 방점
한일 양국 정상이 정면으로 마주 앉았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9월 30일 부산에서 회동하며, 셔틀외교의 순환 경로가 완성됐다. ‘관세 파고’ 속에서 두 나라는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며, 새로운 무역질서 대응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지난 6월 캐나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이시바 총리를 만나 셔틀외교 재개에 뜻을 모았고, 이후 이 대통령의 도쿄 방문(8월 23일), 이시바 총리의 이번 부산 방문을 거치며, 세 차례 정상회담이 속도감 있게 이어졌다. 정상 간 직접 왕래가 잦아진 만큼 양국 실무 협력 역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상회담에서는 무역·안보·사회문제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회담 후 브리핑에서 "격변하는 지정학적 환경과 무역질서 속에서 한일 양국이 유사한 입장을 가진 이웃이자 글로벌 협력 파트너로서 함께 행동할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북극항로 등 신흥 현안뿐 아니라 저출산·고령화, 자살 등 공통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당국 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했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국제 무역질서 변화에 공동 대응하려는 실용 협력의 흐름에 주목했다.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조치 이후, 한국과 일본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각기 다른 해결책을 찾고 있으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상호 경험 공유와 전략 조율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다만 과거사 문제는 이번 회담 테이블 위에 오르지 않았다. 양국 정상은 과거사 이슈를 당분간 별도로 관리하고, 당장 실질 협력에 집중하는 ‘투트랙 전략’을 택했다. 전문가들은 교착 상황이 길어질 경우, 새 일본 총리 취임 이후 과거사 문제 재부상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한다.
이와 관련, 일본은 다음 달 4일 자민당 총재 선출과 함께 총리 교체를 앞두고 있다. 이시바 총리 이후 한일관계 구도가 어떻게 재편될지에 따라, 셔틀외교가 지속되면서 미뤄둔 과거사 현안이 다시 정국 쟁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치권은 새 내각 출범 시점에 맞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신임 총리와의 안정적 협력관계를 조기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정부는 복원된 한일 셔틀외교의 선순환 구조를 더욱 내실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과거사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도 신중히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