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 큰 일보전진”…김민석 총리, 의정 갈등 해소와 국민 회복 강조
정치권의 오랜 갈등 축이었던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논란이 전환점을 맞았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의대 2천명 증원안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의 복귀 선언에 대해 환영 입장을 내놓으면서, 의료계·국회와의 협력 및 국민 회복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의료계와 국회가 의대생 복귀를 선언하면서 정부의 협조를 구했다"며 "큰 일보전진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결실의 길을 찾겠다"고 덧붙이며, 남은 과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해법 모색 의지를 내비쳤다.

특히 김 총리는 "대통령님도 해법을 계속 숙고하면서 총리와 정부에 (해결을) 주문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의 뜻이 중요하다. 국민이 문제의 해결을 도와줄 수 있도록 의료계도 국회도 정부도 더 깊이 문제를 살펴볼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윤석열 정부의) 주술 같은 '2천명 밀어붙이기'의 고통이 모두에게 너무 크고 깊었다”며, 이번 결정이 국민 모두의 회복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는 입장을 전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7일 취임한 김민석 총리에게 의정 갈등 해결책 마련을 주문한 바 있다. 김 총리는 취임 직후 전공의, 의대생 대표들과의 비공개 만찬을 통한 직접 소통에 나서면서 의정 현안 해법 찾기에 박차를 가해왔다.
정부의 거센 정원 확대 추진, 이에 반발한 의료계와 학생들의 집단행동이 1년 5개월을 넘게 이어지며 의료 현장과 국민 불안이 커졌던 만큼, 이번 의대생 복귀 선언은 향후 추가 협상, 제도 보완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국민적 신뢰를 되찾을 수 있도록 의료계, 정부, 국회가 실질적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편 김 총리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준비 상황과 관련 “약 100일 동안 '국민보고 방식'으로 준비기간을 보내겠다”며, 국민 소통과 현장 점검에 방점을 뒀다. 그는 경주 역사 문화에 관한 독서 중요성도 언급하며, 정부가 현장 중심의 정책 추진에 나설 것을 재확인했다.
이날 국회와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 의료계 집단행동, 국민 불안이라는 악순환의 매듭을 풀 의사와 기대를 표했다. 정부는 향후 의료계와의 추가 협의, 국민 의견 청취를 토대로 제도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