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차기 사장 선임 논란”…LG CNS 출신 관여설에 김영섭 대표 부인 파장
KT 차기 사장 선임 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표면화됐다. LG CNS 출신 KT 임원들이 다음 사장 선임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의혹이 21일 제기되면서, 국내 IT 대기업 인사 관리의 투명성과 지배구조 논쟁이 재점화되고 있다. IT 통신업계에서는 이번 논쟁이 단순한 경영 이슈를 넘어 대기업 인사 시스템 전반의 신뢰도와 투명성 제고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한다. 업계와 국회 모두 ‘차기 사장 선임은 KT의 미래 혁신 전략과 직접 연관된 중대 변곡점’이라고 평가한다.
이날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영섭 KT 대표에게 "지난주 KT 이사회 회의에서 차기 사장 선임을 비공개로 하자고 언급했느냐"고 추궁했다. 이에 김 대표는 “차기 대표 선임은 사외이사들만으로 구성해 진행되고, 사내이사들은 참여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이사회 사전 설명회 참석 여부 관련 질문에는 "제가 참여하지 않아서 구체적 내용은 모른다"고 해명했다.

이훈기 의원은 또 “LG CNS 출신 KT 임원들이 자기들에게 유리한 인물을 차기 사장으로 선임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비공개 작업을 한다”는 의혹을 추가로 제기했다. 이에 김영섭 대표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입장을 강하게 부인했다.
KT 경영진 선임은 공공성과 민간 혁신을 동시에 요구받는 대표적 IT 인재 발탁 사례로, 대부분 사외이사가 중심이 되는 폐쇄적 선임 구조가 관행으로 이어져왔다. 하지만 최근 IT·바이오 업계에서는 경영 투명성, 계열사 출신 인맥의 영향력, 세대교체 흐름을 둘러싼 논란이 빈번하다. 미국과 유럽 주요 통신기업들도 외부인재 영입과 이사회 시스템을 공개적으로 운영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등 국회는 대규모 통신·플랫폼 기업 인사 절차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추가 논의 가능성을 시사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KT 차기 사장 선정 과정이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조직 신뢰성 강화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산업계는 이번 논란이 실제로 대기업 인사투명성 기준 강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