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NA로 치안 혁신”…경찰청, 국민 아이디어 발굴해 현장 적용
AI와 DNA 분석 등 첨단기술이 범죄 현장 대응과 국민 안전 전략에 융합되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경찰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한 제11회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이 2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시상식을 열고 국민 제안 기술의 산업적 가치를 집중 조명했다. 올해 공모전에는 역대 최대인 271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됐으며, 이 가운데 구조요청자 위치의 정밀 측정, 영상 기반의 실시간 112 신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지문식별 등 현장 적용성이 높은 디지털 치안 솔루션이 대거 선정됐다.
대상은 습식청소기 원리를 차용해 기존 면봉 방식의 한계를 넘은 ‘다중 디엔에이 여과 포집 장비’에 돌아가, 직물 등 다양한 현장에서 DNA 신속 채취의 현실성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또한 경찰부와 국민부 각 6건의 우수작에는 딥러닝 기반의 혈흔형태분석(혈흔 패턴 추정 자동화), 치매노인 위험 예측 및 대응 AI 시스템 등 실제 현장·생활에 밀착된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 아이디어가 포함됐다. 특히 이번 기술들은 단순 이론이 아니라 전문가 자문 등 심층 심사 과정을 거쳐 실용성과 완성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최근 미국, 영국 등 해외 치안기관들은 인공지능 분석, 유전체 기반 신원 식별, 스마트 디바이스 신고 솔루션을 앞세워 신종 범죄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도 R&D 기반의 디지털 치안 인프라 확보와 시민 참여형 혁신이 경쟁력 변수로 부상하는 양상이다. 한편, 기술 실증 및 상용화에는 개인정보 보호 등 법적 규제, 윤리성 확보가 거론돼 안착까지는 제도와 산업의 협력이 병행돼야 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AI와 데이터 기반 치안기술은 경찰청 등 현장 기관의 업무 효율과 국민 체감 안전도 모두 높일 수 있다”며 “공개 아이디어 공모와 신기술 연계가 향후 과학치안 산업 생태계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발굴 기술들이 실제 현장에 접목될 수 있을지, 연구개발과 제도 정비의 속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