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 의사 인력 이탈 심각”…김영완 회장,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도입 촉구
지방 공공의료기관 인력난을 둘러싸고 정치권과 의료계가 정면 충돌했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지방의료원 인력 부족과 재정 위기를 놓고 공공의대 설립과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김영완 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서산의료원장)은 이날 현장 실태를 고통스럽게 전하며 정부와 국회의 근본적 대책을 촉구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의 질의에 대해 김영완 회장은 “공공의료 부문은 늘 사람을 찾기가 어렵고, 지방은 상황이 더 열악하다”며 “공공의대나 지역의사제를 통해 안정적인 의료인력 공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의사 인력의 수도권 및 대형병원 쏠림 현상 때문에 지방 현장은 인력 이탈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면서도 “정부에서 공공임상교수제, 시니어의사제 등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전체를 커버하기에는 매우 어렵다”고 강조했다.

지방의료원연합회에 따르면, 전국 35개 지방의료원 가운데 29개가 올해 6월 말 기준 적자 상태를 기록했다. 적자 규모는 484억 원에 달하며, 연말까지 약 1천500억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병상 가동률 역시 62.5%에 그쳐,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일부 의료원은 임금체불 등으로 인한 의료인력 이탈이 더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의 신속한 지원을 당부했다.
정치권에서도 공공의대 신설과 지역의사제 도입 등 해법을 두고 논쟁이 거세다. 복지위 소속 의원들은 “지방의료원이 최일선 의료기관으로서 지역 건강 안전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정과 인력 지원에 더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라는 압박 수위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쏠림 현상, 저수가 체계, 지역 내 의료 공백 확대 등을 지적하며 지방 공공의료 구조조정 우려를 표했다. 지방의료원연합회 관계자도 “지방의료원이 본연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선 정부와 국회의 관심·배려가 절실하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지원 정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는 지방의료원 현안과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향후 복지위 차원의 대책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