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공천 개입 의혹 전면 부인”…특검, 2022 지방선거 경위 추궁
2022년 지방선거를 둘러싼 공천 개입 의혹을 놓고 김건희 여사와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정면으로 맞섰다. 김 여사에 대한 특검 소환 조사가 8월 18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진행되면서, 여권 유력 인사 공천 과정과 관련된 정치권의 긴장감도 한층 높아졌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박완수 경상남도지사, 김진태 강원도지사 등 2022년 주요 광역단체장 후보 결정 과정 전반에 걸친 김 여사의 영향력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김 여사가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 대신 박완수 지사가 경남도지사 후보로 선출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심이 쟁점이었다. 특히 정치브로커 명태균씨의 "김건희 여사가 박완수 경남지사 전화번호를 물어본 적이 있다"는 증언까지 공개되며 의혹이 증폭됐다.

다만 김건희 여사 측은 조사과정 내내 박완수 지사와의 사적 인연, 공천과정 개입 사실을 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는 "공천에 개입할 권한이 없었다"며 사실관계를 전면 부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김진태 지사와 관련한 2022년 4월 공천 컷오프 철회 의혹 등 추가질의에 대해서도, 어떠한 관여 사실도 없었다는 취지로 일관된 답변을 이어 갔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에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해 추가로 김 여사를 조사했다. 1차 조사 당시 확보한 증권사 통화 녹음파일을 근거로 주가조작 사전 인지 및 이정필씨 연루 정황을 집중적으로 캐물었지만, 김 여사는 "전문적인 부분까지 알고 있지 못했다"며 혐의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여권 핵심부 공천 과정에 대한 실제 개입 여부와 특검 수사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운 분위기다. 야권은 개입 정황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며 특검의 전방위 수사 확대를 촉구하는 한편, 국민의힘 등 여권 핵심부는 "정확한 진상 규명이 우선돼야 한다"며 방어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날 특검 조사가 추가 소환이나 압수수색 등 후속 수사로 이어질지에 정치권 시선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특검팀은 관련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향후 필요한 법적 절차를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