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독감 동시접종 확대”…한국화이자, 65세 이상 고령층 무료 접종 독려
코로나19 백신의 정기 접종이 국가예방접종사업(NIP)에 공식 편입되면서, 65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동시 백신접종 캠페인이 본격화되고 있다. 한국화이자제약은 2025~2026 절기부터 고령자를 대상으로 독감 백신과 코로나19 백신 동시접종을 권장하는 대규모 광고 활동을 시작했다. 업계는 엔데믹 이후 사회적 경각심이 낮아진 가운데 이번 백신 홍보 전략을 ‘호흡기 감염병 대응체계 전환’의 분기점으로 해석한다.
이번 광고 캠페인은 코로나19와 독감의 차별적 위험, 접종 정책(매년 1회), 무료 대상자 범위, 동시접종 권고 등 주요 정보를 퀴즈 형태로 제공한다. 특히 국가예방접종(NIP) 대상 확대와 세부 접종 일정에 맞춘 홍보가 특징이다. 현재 무료 접종이 가능한 대상은 65세 이상 고령자,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로 한정된다. 접종 일정 역시 75세 이상과 취약장소 입소자는 6월 15일부터, 70~74세는 6월 20일부터, 65~69세는 6월 22일부터 차등 시행된다.

백신 기술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신규 코로나19 백신인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가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DC)가 권고하는 LP.8.1 변이를 타깃으로 개발됐다는 점이다. 최신 3상 임상 결과, 65세 이상을 포함한 고위험군에서 접종 14일 후 방어 항체가 접종 전 대비 평균 4배 이상으로 상승했다. 이는 기존 계절성 독감에 비해 코로나19 입원 환자의 사망위험이 35% 높다는 해외 코호트 연구 결과와 맞물려, 고령층을 중심으로 정기 접종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프리필드시린지 방식으로 약물이 사전에 시린지에 충전된 제형 역시 의료 현장 편의성 개선 측면에서 평가 받는다. 국내 고령자 백신 접종률 제고, 그리고 면역저하자·감염취약시설 등 중증 위험집단 보호를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 해석된다.
글로벌 주요국들도 이미 코로나19 백신 정기접종을 인플루엔자 백신 정책과 연계해 관리 중이다. 미국, 영국 등은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를 겨냥한 동시접종 캠페인을 보건정책의 핵심 수단으로 삼고 있다. 국내 역시 식약처 백신 신속 심사·승인, 복지부·질병청의 NIP 예산 확대 정책으로 글로벌 추세에 맞는 백신 접종 인프라가 마련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집단면역 효과가 저하된 엔데믹 상황에서 백신 정기접종이 고위험군 중증화·사망 위험을 낮추는 주요 방안이 될 것으로 내다본다.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LP.8.1 계열 백신의 효과와 행정적 무료접종 확대가 고령층 호흡기 감염병 부담을 줄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캠페인이 실제 접종률 제고와 공중보건 질 개선으로 이어질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 백신 기술과 접종 시스템, 정보 전달의 체계적 연계가 미래 바이오헬스 시장의 경쟁력을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