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반도체 자립 본격화”…알리바바·바이두, 자체 칩으로 모델 훈련 확대
경제

“AI 반도체 자립 본격화”…알리바바·바이두, 자체 칩으로 모델 훈련 확대

박다해 기자
입력

중국 기술 대기업 알리바바와 바이두가 엔비디아 의존에서 벗어나 자사 설계 반도체 칩으로 인공지능(AI) 모델 훈련에 본격 돌입했다. 11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디인포메이션 보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올해 초부터 자체 개발 칩으로 소규모 AI 모델을 훈련 중이며, 바이두는 ‘쿤룬(P800)’ 칩으로 자체 AI 모델 ‘어니(Ernie)’의 신버전 훈련을 실험하고 있다.

 

그간 중국 IT 업계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최근 미국의 수출 규제와 기술 자립 압박이 가중되며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알리바바와 바이두의 이번 시도는 자립형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의 신호탄”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외에서는 엔비디아의 중국 내 점유율 변화 및 미국 반도체 기업의 경쟁 구도에도 영향이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출처=알리바바
출처=알리바바

시장에서는 알리바바 칩을 실제로 사용해본 직원들의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알리바바 칩은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에 내놓은 저사양 제품 H20과 견줄 만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 측은 “경쟁이 시작됐지만 전 세계 개발자들의 신뢰와 지지 확보에 힘쓰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AI 반도체 분야에서의 자체 칩 개발이 장기적으로 중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 주도권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한다. 기술 자립과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가 당분간 가속화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바이두는 지난 3월 AI 추론 모델 ‘어니 X1’과 대형 언어모델 ‘어니 4.5’를 공개했으며, 이번 칩 기반 훈련에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과거 알리바바는 자체 칩 개발 소식을 월스트리트저널을 통해 알린 뒤 엔비디아 주가가 급락한 전례가 있다. 엔비디아가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중국 IT 기업의 행보는 세계 반도체 공급망 및 시장 경쟁 판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향후 AI 반도체 시장의 지형은 주요 플레이어의 기술 개발 속도와 국제적 수급 변수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다음 분기 주요 중국 IT기업의 AI 및 반도체 부문 실적에 주목하고 있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알리바바#바이두#엔비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