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대화 성사되면 환영·적극 지원”…이재명 대통령, 한미 동맹·중국과의 균형외교 강조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을 둘러싼 외교적 관측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북미 정상 간 만남을 전폭 지지하고 한반도 평화 중재 의지를 내비쳐 주목된다. 주요 국제 현안을 두고 한국, 미국, 중국 등 다자 외교 전선에서 신중한 메시지를 잇따라 내놓으며 정국의 이목이 쏠렸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CNN 인터뷰를 통해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을 앞두고 혹여라도 북미가 전격적으로 만날 수 있다면 전적으로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 회담 전망과 관련해선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신중하게 상황을 짚었다. 이 인터뷰는 용산 대통령실에서 녹화된 뒤 미 현지시간 22일 오후 CNN을 통해 방송됐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회담 가능성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평화를 이루길 원한다고 생각한다”며 “제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 역할을 맡아달라고 청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 북한의 지도자가 갑자기 만난다면 좋은 일”이라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대화 필요성도 언급했다.
또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에 대해선 “상대를 만나 대화하는 것이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첫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말을 하고 싶다”고 전했다. 북미 대화 재개의 출발점으로서 직접 대화의 중요성도 강조한 셈이다.
한편 한미 간 통상 현안, 특히 무역 협상과 관련해선 “조정·교정에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면서도 “이성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 결과에 결국 도달할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투자 요구 등 미국 내 국내정치 논란에 대해선 “우리는 동맹이고 우리 모두 상식과 합리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미국과의 신뢰를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외교 균형 전략도 분명히 했다. “서로 다른 이념과 정부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중국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언급했고, 동맹인 미국과의 관계가 “다소 까다롭다”고도 말했다. 국가 간 관계를 단순히 선·악, 친구·적대 구도로 이분할 수 없으며, 중국과의 무역·산업 경쟁 관계도 복합적이라고 진단했다.
이 대통령은 “중국의 기업이 일부 영역에서 한국을 앞서지만, (반도체, 자동차 등) 여러 부문에서는 아직 우리 기업이 강점을 보인다”고 했다. 이어 “과거 미국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은 만큼, 이제는 미국의 제조업 재건 노력을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의 CNN 인터뷰는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북미, 한중, 한미 관계의 교차점에서 대한민국의 외교적 입장을 명확히 전달하는 계기가 됐다. 정부는 향후 북미 대화의 물꼬가 트일 경우 적극적 중재와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